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성인 500명 대상 설문
경기도민 50% 이상이 물가 상승과 같은 경제 변화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법을 배우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한 생계 지원을 넘어 변화에 적응하고 자립하는 역량을 키우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확인된 셈이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은 지난달 26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물가 상승에 따른 생계 영향 및 평생교육 수요’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5일 밝혔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86.6%가 생활물가 상승을 ‘매우’ 또는 ‘다소’ 심각하게 느낀다고 답했으며, 여성(90.3%)과 30대(88.5%), 50대(87.7%)에서 특히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월평균 가구소득 276만원 미만 저소득층에서는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이 40.3%에 달했다.
생계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70.4%를 기록했다.
전체 응답자 중 19.0%는 ‘매우 어렵다’, 51.4%는 ‘약간 어렵다’고 답했다. 특히 저소득층의 경우 ‘매우 어렵다’는 응답이 전체 평균보다 높은 32.8%로 조사됐다.
물가 안정 정책에서 가장 우선돼야 할 품목으로는 ‘달걀’이 41.2%로 가장 많았고, 이어 쌀(18.2%), 야채(13.4%), 돼지고기(9.4%)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고령층과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기초 식재료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특히 높게 나타났다.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어떤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항목에서는 ‘경제 흐름과 물가 구조에 대한 이해’가 54.0%로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전체 응답자의 59.8%는 물가 대응 교육 참여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선호하는 방식은 ‘언제든지 시청 가능한 온라인 강의’가 55.2%로 가장 높았다.
이번 설문조사는 유니온리서치에 의뢰한 것으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5%포인트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