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4명 중 1명은 차량 단독사고로 사망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여름 휴가철 단독사고 사망자 수가 많아지는 만큼 운전자 주의가 필요하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25일 “지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경찰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교통사고 대비 차량 단독 교통사고 발생 건수 비중은 평균 4.1%였으나 사망자 수 점유율은 평균 23.6%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차량 단독사고 치사율(교통사고 100건 당 사망자 수 발생 비율)은 전체 교통사고 평균 치사율(1.4%)의 5.8배인 7.9%였다.
차량 단독 교통사고 사망자는 교통량 증가와 장거리 통행 빈도가 많은 여름 휴가철에 많이 발생했다. 6~8월 차량 단독 사고 건수의 28.1%로 사망자의 28.8%가 집중됐다. 월별로는 8월(10.1%)이 가장 많았고 6월(9.6%)이 뒤를 이었다.
도로 유형별 사망자 발생 비율은 시 외부 도로인 군도(38.6%), 지방도(31.0%) 순이었다. 각 도로의 치사율은 단독사고 평균 치사율(7.9%) 대비 각각 1.6배(12.4%), 1.4배(11.0%) 높았다.
이성렬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차량 단독사고의 대부분은 운전자 부주의와 안전 수칙 미준수에 의해 발생한다”며 “휴가철 운전자는 타이어·와이퍼·브레이크 등 차량을 점검하고, 장시간 운전이 지속될 경우 휴식 시간을 확보하거나 일행과 교대로 운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