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바이오 센싱솔루션 실증…양자 생태계 활성화”
인천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025년 수요기반 양자기술 실증 및 컨설팅’ 공모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이 사업은 자치단체가 펀딩을 통해 참여하는 만큼 양자 기술의 실증 뿐 만 아니라 양자 생태계 활성화에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시는 ‘양자·바이오 센싱솔루션 실증 및 컨설팅’을 주제로 공모 사업에 참여한다.
초민감 양자 센싱 기술을 활용, 체액에서 검출한 물질로 질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정밀 의료형 액체생검 솔루션으로 수요기관 맞춤형 장비를 개발하게 된다.
이어 성능을 평가해 최종적으로는 장비의 국산화 및 상용화를 추진한다.
또 바이오·소부장 기업과 인천보건환경연구원을 대상으로 기관 특성에 맞는 양자 기술 도입·확산 컨설팅을 제공해 양자 생태계의 저변을 넓히고 양자·바이오 융합 클러스터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사업은 지큐티코리아를 중심으로 제놀루션, 기수정밀, 인천대가 실증에 참여한다. 또 인천시와 인천테크노파크는 컨설팅 ·생태계 조성을 담당하는 지산학 컨소시엄 형태로 협력한다.
컨소시엄 참여기관 모두가 인천에 본사(지사)·연구소를 둔 만큼 지역 주도형 사업 모델로서 더욱 의미가 크다.
총 사업비는 2년간 14억 9300만 원이며, 국비 9억 원·시비 2억 7000만 원·민간 3억 2300만 원이 각각 투입된다.
시는 이번 사업 선정에 앞서 양자산업 기반 조성에 선제적으로 나서며 미래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박차를 가해왔다.
지난해 연세대 송도 국제캠퍼스에 IBM 127큐빗 양자컴퓨터가 도입되며 연구인프라가 마련됐고 시는 연세대와 함께 글로벌 양자 기업인 디웨이브 퀸텀과 3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또 캐나다 및 핀란드, 프랑스의 양자 기업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양자 네트워크를 확장해 왔다.
올해 7월에는 양자산업 전담팀 신설 및 지원 조례 제정으로 제도적 기반도 강화했다.
시는 이를 토대로 예산 확대와 바이오산업 연계를 추진하며, 정부 양자 클러스터 지정에도 도전할 계획이다.
유정복 시장은 “이번 공모사업 선정은 인천이 보유한 바이오와 소부장 산업 역량에 양자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할 계기”라며 “인천을 국내를 넘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양자융합 선도 도시로 도약시키겠다”라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