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금융·외환시장이 선진국에 비해 기반이 얕아 외부 충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실물 경제의 위축을 막기 위해서는 통화정책과 함께 외환시장개입, 거시건전성정책을 아우르는 정책조합이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22일 한국은행 국제국 국제금융연구팀이 발표한 'BOK 이슈노트: 금융·외환시장 심도를 고려한 정책대응 분석'에 따르면, 글로벌 리스크 충격이 발생했을 때 한 국가의 환율과 금리가 변동하는 정도로 측정한 시장 심도가 우리나라의 경우 선진국에 비해 깊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17개국을 분석한 결과, 글로벌 리스크 충격에 대한 우리나라의 'UIP 프리미엄(무위험 금리평형 프리미엄)' 반응계수는 2.11%포인트(p)였다. 선진국 평균(0.41%p)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UIP 프리미엄은 국내 경제 주체가 해외에서 돈을 빌릴 때 글로벌 투자자에게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비용을 의미하며, 이 반응계수가 클수록 시장 심도가 얕다는 뜻이다.
실제로 시장 심도가 얕은 국가 그룹에서는 글로벌 리스크 충격이 발생했을 때 환율이 큰 폭으로 절하되고 단기금리 스프레드가 상승했다.
반면 시장 심도가 깊은 국가에서는 환율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고, 오히려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단기금리 스프레드가 하락했다.
이러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은 실물 경제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준다.
보고서가 국제통화기금의 통합정책체계(IPF) 모형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금융·외환시장의 심도가 얕은 국가는 글로벌 리스크 충격 시 실물 부문이 더 크게 위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자본유출과 국내 금융스프레드 확대 간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경기 위축은 더욱 심화됐다.
보고서는 이에 대한 해법으로 정교한 정책조합을 제시했다.
통화정책만으로 대응할 경우보다 외환시장개입과 거시건전성정책을 함께 구사할 때 경제의 후생손실을 18.3%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이는 정책조합이 환율과 금리스프레드를 안정시켜 GDP와 인플레이션 변동 폭을 줄이기 때문이다.
김지현 국제금융연구팀 과장은 "대외 충격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금융·외환시장의 심도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외환시장 구조개선 방안'과 2026년으로 예정된 세계국채지수 편입이 시장 심도를 높이는 데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