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에 지상 3층 규모 실증 공간 구축…신기술 집합체
주택 내부 공간을 도화지로 만드는 ‘넥스트 라멘 구조’
바닥·벽체·가구·욕실에 ‘인필 시스템’ 적용…공간 가변성↑
“한강변에 들어서는 초고층 아파트에 넥스트 홈 적용 추진”
“미래의 아파트는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입주민의 삶에 맞춘 특별한 공간으로 유기적인 진화를 거듭할 것입니다. 삼성물산은 ‘넥스트 홈’(Next Home)을 통해 미래 주거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차별화된 기술과 품질을 바탕으로 독보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겠습니다.”(변동규 삼성물산 주택기술혁신팀장)
지난 26일 삼성물산이 미래 주거 모델로 제시한 넥스트 홈을 직접 체험하고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지구에 위치한 ‘테스트 베드’를 방문했다.
넥스트 홈은 ‘넥스트 라멘구조’와 ‘넥스트 인필 시스템’을 통해 거주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자유롭게 집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앞서 삼성물산은 지난 2023년 8월 ‘래미안, The Next’를 주제로 미래 주거 모델의 방향성을 제시한 이후 약 2년 만에 지상 3층 규모의 실증 공간을 완성했다.
넥스트 라멘구조는 수직 기둥에 수평 부재인 보를 더한 라멘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아파트 내부의 벽과 기둥을 없앤 형태다. 무주(無柱) 공간을 조성해 도화지와 같은 평면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테스트 베드 3층에 들어서니 이 같은 넥스트 라멘 구조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둥이 공간 밖으로 배치돼 있었으며 각종 배관을 위한 PD(PIPE DUCT) 공간은 주택 양 끝단에, 전기 설비 기술들은 천장에 각각 조성돼 공간의 가변성을 최대한 끌어올렸다.
현장에서 만난 삼성물산 관계자는 “배관이 어정쩡한 위치에 있으면 욕실이나 주방 등 물 쓰는 공간을 배치하기가 어렵다”며 “넥스트 라멘구조는 배관을 양 끝으로 지나가도록 해 어느 위치든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넥스트 라멘구조가 공간의 간섭을 최소화한 평면을 조성했다면 바닥(Next Floor)과 벽체(Next Wall), 가구(Next Furniture), 욕실(Next Bath) 등에 모듈형 조립식 기술을 적용한 인필 시스템으로 주거 공간을 꾸미게 된다.
한 마디로 거주자가 원하는 대로 욕실과 방, 거실, 다이닝 공간 등을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테스트 베드의 2층은 3층과 인필 시스템을 활용한 집이 구현돼 있었다. 넥스트 월과 넥스트 퍼니처 기술을 활용해 공간을 나누고 넥스트 배스 기술로 원하는 곳에 화장실을 배치해 3~4인 가구가 거주하는 집이 펼쳐져 있었다.
벽체 마감재는 탈부착이 가능하며 가구 역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 공간을 확장·분리·통합하는데 용이하다는 현장 관계자의 설명이 이어졌다.
욕실은 탈현장(OSC) 공법으로 외부에서 제작된다. 프레임부터 마감까지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POD 욕실과 패널로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하는 시스템 욕실 등 두 가지 설치 방식이 있으며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시공하는 욕실과 달리 시공의 편차가 없다는 점이 장점이다.
특히 벽과 가구뿐만 아니라 주방과 욕실 등 주택 내부 공간의 재구성을 위해 바닥은 건식 바닥을 조립형 모듈로 설치하는 넥스트 플로어 기술을 적용한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보통 아파트에 적용되는 습식구조 바닥은 시공에 열흘 정도가 걸리고 리모델링 시에도 바닥을 다 뜯어내고 재시공을 해야 해 폐기물이 발생한다”며 “반면 넥스트 플로어는 내부 레이아웃을 바꿀 때 바닥 모듈을 떼서 이동해 설치할 수 있어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고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도 적을뿐더러 층간소음 저감에도 우수하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기술은 향후 순차적으로 삼성물산이 건설하는 래미안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물산은 이미 지난해 6월과 9월 각각 준공한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펜타스’와 부산 동래구 ‘레미안 포레스티지’ 공용 공간에 넥스트 배스와 넥스트 플로어를 시범 적용한 바 있다.
넥스트 퍼니처는 지난 2023년 과천주공10단지 재건축 사업에 처음 제안한 데 이어 부산 사직2·광안3구역, 서울 용산구 남영2·한남4구역, 서초 신반포4차, 강남 개포우성7차 등 도시정비사업에 적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변동규 팀장은 “초고층 아파트에는 벽식 구조로 건설할 수 없다”며 “향후 한강변 등 초고층 아파트를 계획하는 정비사업장은 라멘 구조가 적용될 텐데 넥스트 라멘을 반영시키는 방향으로 대안설계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