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4중전회서 ‘시진핑 후계자’ 질문은 금물“

김상도 기자 (marine9442@dailian.co.kr)

입력 2025.10.21 19:57  수정 2025.10.21 19:57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24년 7월18일 베이징 징시호텔에서 열린 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3중전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 신화/연합뉴스

20일 개막한 중국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4중전회)에서 고위직 인사 교체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시진핑 국가주석의 후계 문제는 여전히 금기시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미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시 주석이 얼마나 오래 통치할지, 후임은 누가 될지 같은 질문은 이번 4중전회의에서 누구도 제기하지 못한다며 “이는 중국의 미래에 있어 중요한 문제”라고 보도했다. NYT는 “시 주석의 후계자나 지명 일정 모두 불투명하다”며 장기 집권 속 후계 관리 실패 시 정치적 혼란이 초래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시 주석의 건강 이상 발생 시 대리 역할을 맡을 인물, 강경 노선 계승 여부 등도 불확실성으로 꼽혔다. 전임 장쩌민·후진타오 주석은 10년 집권 뒤 퇴임했지만, 시 주석은 2022년 3연임에 이어 2027년 4연임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그는 “자신의 지속적인 집권이 중국 부상의 핵심”이라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이번 4중전회에서 차기 5개년 계획(2026~2030년)을 논의하며 과학기술과 ‘고품질 발전’을 통한 미·중 관세전쟁 돌파를 강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 주석이 “후계 지명은 권력 약화를, 미지명은 정통성 위기를 불러오는 딜레마”에 처해 있다고 진단했다.


닐 토머스 아시아소사이어티정책연구소(ASPI) 연구원은 “시 주석이 후계문제의 중요성을 거의 확실히 알고 있지만, 동시에 자신의 권력 약화 없이 후계자를 지명하는 게 매우 어렵다는 점도 안다”고 강조했다. 우선순위 측면에서 정치·경제적 위기대응이 후계문제보다 계속 앞설 가능성이 있다고 그는 분석했다.


NYT는 또 시 주석의 집권이 장기화할수록 수십년간 중국을 통치할 만큼 젊은 동시에 자신의 그늘 하에서도 권한을 장악할 만한 후계자를 찾기 어려워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공산당 최고위층인 현 당중앙정치국 상무위원들은 60대 이상으로, 수년 뒤에 시 주석의 후계자로 집권하기에는 나이가 많은 것이다. 1953년생으로 70대인 시 주석은 50대이던 2007년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발탁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상도 기자 (marine944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