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베센트(가운데) 미 재무장관이 27일(현지시간) 일본으로 향하는 에어포스원(대통령 전용기) 내에서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USTR)가 지켜보는 가운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이재명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지만 한·미 포괄적 무역협정이 최종적으로 체결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미 재무부 장관이 “아직은 아니다”라고 밝혀,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기간 중 합의를 마무리하지 못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아시아 순방 일정을 동행 중인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27일 일본 도쿄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 안에서 취재진과 만나 ‘한·미 협상이 정상회담(29일) 중에 타결될 것이냐’는 질문에 “아직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세부 사항을 많이 조정해야 할 뿐이며 매우 복잡한 협상”이라면서도 “거의 마무리 단계에 와 있다”고 밝혔다. 다만 “전체적인 틀은 잡혔고 이제 세부 사항을 정리하는 중”이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24일 아시아 순방길에 오르며 취재진과 만나 “한국과의 관세 협상이 타결에 매우 근접했다”며 “그들이 준비됐다면 나도 준비됐다”고 말한 바 있다. 반면이재명 대통령은 27일 공개된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투자 방식과 금액, 일정, 손실 부담과 이익 배분 등 모든 것이 여전히 쟁점으로 남아 있다”며 교착 상태를 인정했다.
한·미 양국은 지난 7월 무역합의의 큰 틀을 이뤘지만, 한국 정부가 관세인하의 반대급부로 제시한 3500억 달러(약 501조 7000억원) 규모 대미 투자금의 성격과 구조를 놓고 이견 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을 계기로 말레이시아·캄보디아와 무역 합의를 체결했고, 태국·베트남과도 이를 ‘프레임워크’ 형태로 명문화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정부가 3500억 달러 대미 투자의 반대급부 성격으로 한국인 근로자에 대한 비자 보장을 요구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이는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고 외국 자본이 우리 나라에 들어와 많은 공장을 건설할 때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일정 기간 동안 전문 인력을 데려와 우리(미국인) 직원들에게 기술을 전수할 것이다. (비자 제도에 관한) 완전히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지난달 조지아주의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차 공장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대규모 구금 사태와 관련, “나는 그들을 내보내는 것에 반대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이날조선업 분야에서 양국 협력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더 많은 배를 (만들기를) 원한다”며 “수많은 회사가 우리나라로 들어오고 있다. 그들은 (선박) 건조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힌 뒤 미국에는 “사용 가능한 조선소가 많다”고 강조했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한국은 조선업 분야에서 미국에 투자할 훌륭한 계획을 가지고 있고, 실제로 이미 그렇게 했다”며 “지금은 미국 내 한국 투자를 어떻게 가장 잘 이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부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