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신뢰 기반 장기 자산관리 체계 구축"
KB증권은 11일 사모펀드, 랩어카운트, 신탁 등 자문·관리형 상품(Fee-Based)을 중심으로 자산관리(WM) 부문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KB증권 홈페이지 갈무리
KB증권은 11일 사모펀드, 랩어카운트, 신탁 등 자문·관리형 상품(Fee-Based)을 중심으로 자산관리(WM) 부문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문·관리형 상품은 서비스 제공자가 수수료(fee)와 함께 상품 판매에 따른 커미션(commission)을 동시에 받을 수 있다.
KB증권 측은 "단순 실적 확대보다 고객 신뢰 기반의 장기적인 자산관리 체계 구축과 상품 구조 고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올해 KB증권은 사모펀드와 랩어카운트 판매를 확대해 맞춤형 상품 공급 역량을 강화하고, 시장 상황과 고객의 투자 성향에 맞춘 자문·관리형 상품 자산 비중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특히 국내 주식시장을 중심으로 운용 성과가 우수한 주식형 사모펀드를 공급한 결과 지난 10월말 기준 증권형 사모펀드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한 8040억원을 기록했다. 고객 수익률 제고에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는 설명이다.
랩어카운트 부문도 고른 성장세를 이어갔다. 주식형 랩 판매액은 7713억원으로 전년 대비 131% 증가했고, 투자형 랩 수익은 전년 대비 82% 늘었다.
자문·관리형 상품 자산 증대로 WM 전체 자산 규모도 불어났다. 지난 10월말 기준 KB증권 WM자산은 전년 대비 30% 늘었고, WM수익은 전년 대비 8% 증가했다.
KB증권 측은 "단기 판매 중심의 영업에서 벗어나 자문·관리형 상품 수익 구조로 전환한 결과로, 고객 맞춤형 포트폴리오 제안과 장기적 자산 성장 전략이 성과로 이어졌다"고 전했다.
특히 "투자 전문가(Investment Consultant·IC) 역할이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투자 전문가는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고객의 투자 성향과 목표를 분석해 포트폴리오 구성부터 사후 관리까지 전 과정에 걸쳐 전문 자문을 제공한다. 단순한 상품 판매를 넘어 고객 중심의 종합 자산관리 서비스를 실현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자문·관리형 상품 중심의 자산관리 전략은 고객 관점에서도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며 "고객 자산 성장이 판매사의 수익과 연동돼 단기 실적 위주의 영업을 줄이고, 이해상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고객은 투명한 비용 구조 아래 장기 성과 중심의 운용 서비스를 통해 시장 변동기에도 안정적인 투자 전략을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투자자는 금융상품에 대해 금융상품판매업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다. 금융투자상품은 자산가격 및 환율 변동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