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연 2.50%, 또 한 번 동결 우세
미국 금리 불확실성…“한은 먼저 움직이기 어려워”
“향후 1년 이상 동결” 전망…“내년 1~2회 추가 인하” 가능성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달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한국은행
한국은행이 오는 27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연 2.50%를 또 한 번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굳어지고 있다.
집값과 가계대출 증가세가 진정됐는지 확인이 필요하다는 점에 더해, 1470원대를 돌파한 원·달러 환율이 인하 결정을 사실상 가로막고 있다는 평가다.
앞서 한은 금통위는 올들어 2월과 5월 두 차례 금리를 0.25%포인트(p)씩 인하한 뒤 7, 8, 10월 세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어 이달 금통위의 4연속 금리 동결이 예상되고 있다. 이는 불안정한 부동산 시장과 급증하는 가계대출, 원화 약세가 공통된 우려 요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11월 셋째 주 기준 전주 대비 0.20% 오르며 10·15대책 발표 직후보다 상승폭은 둔화됐지만 여전히 오름세다.
5대 은행 가계대출은 이달에만 2조6000억원 넘게 늘며 7월 이후 가장 빠른 증가 속도를 보였다.
여기에 원·달러 환율이 1477원 선을 뚫고 7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며 한은의 ‘인하 카드’를 더욱 무겁게 만들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서울 집값이 여전히 강한 데다 환율 불안도 지속되는 만큼, 한은이 지금 기준금리를 내릴 명분은 없다”고 진단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금리 인하가 가계부채와 수도권 집값에 다시 불씨를 줄 수 있다는 점을 한은이 의식하고 있다”며 “환율 부담까지 고려하면 동결 가능성이 우위”라고 했다.
국내 변수뿐 아니라 미국의 정책금리 경로가 안갯속인 점도 부담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p 인하했지만, 뉴욕 연은 총재의 발언 한마디에 시장 기대가 하루 만에 뒤집히는 등 전망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한·미 기준금리 격차는 1.50%p이지만, 만약 한국은행이 27일 추가 인하를 단행할 경우 격차는 1.75%p까지 다시 확대된다.
경기 흐름 역시 동결에 힘을 실어준다. 반도체 수출 호조와 소비 회복 등으로 ‘경기 부양형 인하’의 필요성이 연초보다 크게 줄었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새 경제전망에서 성장률을 소폭 상향할 가능성도 동결 전망의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번 회의 결과에 대해선 한목소리로 ‘동결’을 예상했으나, 내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금융권 관계자는 “한·미 금리 역전을 정상화하려면 당분간 동결 기조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며 “향후 1년 이상 금리 동결이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일각에서는 내년 경기 둔화 재부상 가능성을 근거로 1~2회 추가 인하를 점쳤다.
또 다른 관계자는 “내년 성장률 반등은 상당 부분 기저효과 때문”이라며 “하반기 경기 우려가 다시 커지면 한은이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 추가 인하를 전망하며 “잠재성장률 회복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완화 기조를 이어갈 여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