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커지는 6‧17대책 후폭풍…쏟아지는 반발 여론
등 돌린 민심…고위공직자부터 솔선수범 보여야
6‧17대책의 후폭풍이 거세다. 거듭될수록 숨통을 옥죄는 규제에도 집값 상승이 계속되자, 원망의 눈초리가 ‘내로남불’ 정부 고위공직자들로 향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국토부 장관을 비롯한 국토부 전직원 및 가족의 부동산거래내역 조사를 요청한다’는 내용의 게시글부터, 이번 6‧17대책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글이 수십건에 이른다.
실제로 한 부동산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조품아(조국을 품은 아파트)’라는 말까지 나왔다. 문재인 정부에서 강남 재건축 아파트에 대한 규제 수위를 계속 높이는 가운데,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아파트로 알려진 서초구 방배동 ‘삼익아파트’ 재건축 사업은 순조롭게 진행된 걸 비꼰 표현이다.
김수현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과천 아파트도 여전히 논란이다. 한동안 재건축 시장에 뜨거운 감자였던 초과이익환수제를 피했을 뿐만 아니라, 지난달 추가로 발표된 ‘위례~과천선’은 이 단지의 바로 인근을 지나가게 된다. 앞서 이 아파트는 2017년 1월 9억원에서 지난해 11월 19억4000만원으로 오르면서, 고위공직자 아파트 중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지난 3월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재산 공개 대상인 중앙 부처 재직자 3명 중 1명은 다주택자다.
물론 의도치 않은 우연의 일치일 수도 있다. 하지만 반복되는 상황에 국민들의 분노가 하늘을 찌른다. “국민에겐 안 된다면서 저들은 다 누리고 있다”며 “대출받아 내 집 하나 장만하려는 서민들까지 투기꾼으로 몰아세우고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이 같은 국민들의 분노는 ‘강남 집’, ‘재건축 아파트’, ‘다주택자’ 등에 ‘사회악’이라는 프레임을 씌운 정부 스스로가 자초한 일이다. 자꾸만 덧칠되는 부동산 규제로 내 집 마련조차 어려운데, 모범을 보이기는커녕 그 어렵다는 재건축 사업이 술술 풀리고, 몇 년 새 집값이 10억씩 뛰고, 집을 몇 채나 쥐고 있는 모습이 곱게 보일 리 없다.
얼마 전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서초구 잠원동에 배우자와의 공동명의 아파트, 배우자 명의의 또 다른 잠원동 아파트 등 총 두 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두 채 이상의 집이 있는 다주택자는 한 채를 남기고 처분하라는 청와대 권고사항에 어긋난다.
이에 강 대변인의 배우자가 갖고 있는 잠원동 아파트는 결혼 전 장인이 딸들에게 증여한 것으로, 처제와 절반씩 지분을 갖고 있어 총 2채가 아닌 1.5채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1.5채라니….
6‧17대책에서 조정대상지역으로 추가되며 촌극을 빚은 무인도 ‘실미도’. 동명의 영화 속 명대사가 떠오른다. “비겁한 변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