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플랫폼 데이터 공유, 4차 산업혁명주 띄울까


입력 2020.07.12 06:00 수정 2020.07.12 07:26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네이버·카카오 자발적 데이터 개방, 자율주행·AI 관련주에 호재

디지털 뉴딜 등 정책 모멘텀도 플랫폼주·IT 중소형주에 긍정적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그린팩토리 본사.ⓒ네이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그린팩토리 본사.ⓒ네이버

국내 플랫폼 기업의 자발적인 데이터 공유를 통해 대형 플랫폼주는 물론, 4차 산업혁명 관련 중소형주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네이버, 카카오 등이 디지털 뉴딜 등을 위해 정부와의 협력을 추구하면서 생태계에 긍정적인 흐름을 이끌 것이라는 분석이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유럽 정부는 플랫폼 기업들에 대한 규제의 수위를 높였다. 영국 경쟁시장청(CMA)은 지난 1일 구글과 페이스북이 디지털 광고시장을 독점한다며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유럽연합(EU) 경쟁담당 집행위원인 마르그레테 베스타게르도 EU가 콘텐츠, 경쟁, 증세라는 세 가지 주제로 정보기술(IT) 대기업들을 겨냥한 새로운 규정서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CMA와 베스타게르의 발언은 정부가 제조업에 한정됐던 기존 규제의 제한을 인식하고 모두에게 공정한 시장을 다시금 마련하겠다는 유럽 국가들의 의지를 보여준다”며 “유럽 정부의 의지에서 도출되는 가장 큰 시장 리스크는 데이터 공유”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CMA는 구글에 “검색과 관련된 클릭과 쿼리 데이터를 개방해 다른 검색엔진과 경쟁하라”고 권고했다. 유럽 위원회도 중소규모 경쟁사들이 구글 등의 IT 기업 플랫폼에 접속해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 더 초점을 맞출 계획이라고 했다.


김 연구원은 “이는 빅테크 시장 지배력의 분산 가능성을 의미한다”며 “데이터는 통상 ‘4차 산업혁명의 쌀’로 불리는데 구글,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의 지위와 경쟁력이 데이터로부터 나왔음을 감안할 때, 이러한 정책은 향후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시장 점유율과 사업 전략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짚었다.


반면 국내 플랫폼 기업의 데이터 개방은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평가다. 현재 한국에선 유럽과 정반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네이버, 카카오 등 플랫폼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정보를 개방하고 공정경쟁에 대한 환경을 촉구하고 있어서다. 최근 카카오, 네이버파이낸셜, 쿠팡 등 국내 빅테크 기업들은 자사 정보를 금융시장에 대거 개방하기로 합의했다. 카카오는 카카오맵에서 전국 도시철도 1107개 역사의 교통약자 이동 및 환승 경로와 편의시설 위치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이는 기업과 정부가 디지털 뉴딜과 공정 경쟁이라는 공통 목적을 바탕으로 일정 부분 합의점을 도출했음을 시사하고, 향후 국내 플랫폼 기업과 정부가 서로 윈-윈하기 위해 상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국내 플랫폼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규제에 동의했다는 점이 대표적”이라고 판단했다.


지난 6일 네이버, 카카오, 우아한형제들, 직방 등 국내 플랫폼 기업은 IT 기업에 대한 법 규제의 정비를 촉구했다. 이들은 디지털 경제와 관련한 국내 법 규제가 구글과 페이스북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에 관대하게 적용되고 있어 역차별이 발생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국내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 개방과 관련 규제 제정은 역설적으로 잠재적 리스크가 아닌 호재일 가능성이 높다”며 “국내 플랫폼 기업들은 다국적 빅테크 기업들과의 역차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기업과 정부의 점진적인 데이터 개방으로 인해 자율주행,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중소형주는 대기업과의 데이터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비즈니스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공급받아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데이터 개방을 통해 정부도 디지털 뉴딜 정책을 더욱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오는 13일에 발표될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중 디지털 뉴딜의 경우 기업들의 데이터 활용을 위해 15개 분야에서 빅데이터 플랫폼을 만들고 14만개의 공공데이터를 순차 개방하기로 약속했다. 김 연구원은 “이러한 정책 모멘텀과 민관협력을 위한 지속적인 시도는 국내 플랫폼 기업과 IT 중소형주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가 한국판 뉴딜을 위해 오는 2025년까지 100조원 이상 투입을 계획한 가운데 어느 정도 규모로 발표될지도 관심사다.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양대 축으로 하는 만큼 디지털 인프라 구축, 비대면 산업 육성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며 “디지털 인프라, 5G, 원격의료,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고 IT 소프트웨어(SW)를 비롯한 기존 주도주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