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예능보다 유튜브 선호하는 영화인들
유튜브 영향력 커졌지만…새 수익 모델 필요성 제기
올해 여름 극장가를 채운 대작들은 방송 프로그램보다 유튜브 콘텐츠에서 작품을 더욱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영화 ‘외계+인’의 류준열, 김우빈, 김태리와 ‘헌트’의 이정재, 정우성은 유튜브 채널 ‘문명특급’을 선택했으며, ‘비상선언’의 송강호, 이병헌 등은 ‘채널 십오야’를 통해 예능감을 뽐냈었다. 관계자들은 “예능보다 오히려 효과가 좋다”고 유튜브 콘텐츠 출연 이유를 설명하면서 유튜브의 달라진 위상을 실감케 했었다.
자연스러운 톱스타 출연, 각 방송사도 유튜브 콘텐츠 병행…달라진 위상
톱스타들의 게스트 출연이 자연스러워진 것은 물론, 박명수, 김구라, 이지혜, 광희 등 TV 프로그램과 유튜브 활동을 병행하는 스타들도 늘어났다. 한때는 TV 프로그램 활약이 저조한 이들이 진출하거나, 혹은 유튜브 콘텐츠 인기를 발판 삼아 TV 프로그램에 진출하려는 이들이 없지는 않았으나, 지금은 하나의 선택지가 되고 있다.
유튜버들이 TV 프로그램에 역진출하는 것 역시도 자연스러운 흐름이 됐다. 유튜버들이 예능의 게스트, MC로 활약하는 것은 물론, 진용진, 장삐쭈는 유튜브 콘텐츠를 바탕 삼는 TV 프로그램의 제작진으로도 활약하며 TV와 유튜브 경계를 지워나가고 있다.
각 방송사들 역시도 유튜브를 적극 활용 중이다. 방송 프로그램의 요약, 편집본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웹 콘텐츠 전용 채널을 개설, 오리지널 콘텐츠를 활발하게 제작하면서 시청자들에게 다양한 재미를 선사하고 있다.
이에 샌드박스 네트워크를 비롯해 웹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제작사들도 크게 늘었다. 콘텐츠만 있으면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유튜브의 낮은 진입장벽을 활용, 다양한 도전과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각종 도전 이어지지만…'수익 한계' 호소 목소리도 이어져
그러나 이제는 그 한계 또한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웹콘텐츠를 제작하는 창작자들에 따르면 콘텐츠의 조회수만으로는 개인을 넘어 집단, 기업을 운영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말한다. PPL(간접광고)를 비롯해 협찬 등의 규모에 따라 해당 채널의 수익이 결정된다는 것.
이에 여러 채널들은 PPL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수익 올리기에 열을 올리기도 한다. TV 프로그램에 PPL이 등장하면 거부감을 드러내던 시청자들도 유튜브 콘텐츠에는 조금 더 관대한 시선을 보낸다. 오히려 ‘대놓고’ 광고를 하며 ‘도와달라’라고 말하는 유튜브 콘텐츠들의 방식에 신선함을 느끼기도 했었다. 이에 “숙제할 시간”이라며 자연스럽게 간접광고를 하는 콘텐츠들도 흔하게 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흐름이 장기적으로는 유튜브 콘텐츠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언급한 유튜브 콘텐츠들의 ‘대놓고’ 광고 방식에 이제는 시청자들도 식상함을 느끼는 것은 물론, PPL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들을 기획하려 하면서, 유튜브 콘텐츠의 장점인 신선함과 색다른 시도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한 웹 콘텐츠 PD는 “마치 PPL을 위한 콘텐츠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 같다. 이제는 그 콘텐츠를 보면, ‘아 이렇게 PPL을 활용하려고 하는구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 때문에 유튜브 콘텐츠들이 오히려 획일화되고 있다는 생각 한다. 신선함을 무기로 뜨게 된 플랫폼인데, 이러한 흐름이 지속되면 시청자들이 모를 리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PPL 외 수익 모델이 만들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이러한 흐름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웹콘텐츠 종사자 대부분이 PPL 외 수익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지만, 답을 찾지 못했다”고 말하지만, 그럼에도 콘텐츠에 더욱 공을 들여 유튜브용 콘텐츠가 아닌 또 다른 가능성을 열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 관계자는 “유튜브 콘텐츠가 유튜브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방송사나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로도 충분히 확산될 수 있도록 탄탄한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지금은 하나의 콘텐츠로 여러 사업을 하는 시대가 아닌가. 그럴수록 콘텐츠에 더 공을 들여 새 사업으로, 새 시도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넓히는 것이 필요한 것 같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