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한 특화 점포에 대기 시간 길고
수도권에 몰려 있어 접근성 떨어져
점포 줄며 금융 취약계층 소외 우려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을 상대로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점포가 아직 30여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50만명이 넘는 외국인 고객을 수용하기엔 턱 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은행들이 현장 지점을 줄이면서 고령자가 소외될 수 있다는 지적과 함께, 외국인에 대한 오프라인 수요도 사각지대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내에 있는 외국인 고객 특화 점포는 총 32곳이다. 하나은행이 16곳으로 가장많고, 이어 ▲KB국민은행 8곳 ▲우리은행 5곳 ▲전북은행 2곳 ▲IBK기업은행 1곳이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18곳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시 7곳 ▲경상도 3곳 ▲충청도 1곳 ▲인천시 1곳 ▲광주시 1곳 ▲대구시 1곳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은행 업무를 보기 위해 정해진 지점으로 이동해야 하고 거주 지역에 점포가 없을 경우 다른 지역으로까지 움직여야 하는 상황이다.
외국인 특화 점포는 국내에 살고 있는 외국인을 수용하기엔 모자란 게 현실이다.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 수는 251만명에 이른다. 전년 말과 비교하면 11.5% 증가했다.
문제는 은행권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오프라인 점포를 줄이고 있는 추세라는 점이다. 점포 축소에 대해 모바일뱅킹 등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이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외국인 고객에 대해서도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외국인 고객은 대부분 외국 송금 업무와 외국어로 창구 소통 등 다국적 서비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 지점에서는 금융 업무를 보기 어렵다. 초고령화 사회와 더불어 글로벌 사회로 나아가는 사회적 변화에 은행이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배려 차원이 아니더라도 은행에게 외국인은 꼭 잡아야 할 고객이 되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신규 외국인 고객 수는 38만명으로 1년 새 7만명가량 증가했다. 한 지점당 수용해야 할 외국인 수를 계산하면 7만8000명이 넘는 셈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늘어나는 국내 거주 외국인 고객들을 위해 은행권에서 전용 대출상품과 비대면 서비스 등을 확대하고 있다"면서도 "여전히 금융 취약계층에 대한 사각지대를 개선해 편리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