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관세 휴전으로 위험자산 선호 심리 살아나지만…2차전지 관련주 투심 저하
미국의 세제 정책 변화 등이 관건…업계 1위 중국 견제 강화 시 우리 기업엔 '기회'
"향후 미국과 유럽의 중국 공급망 의존도 완화 시도 지속되면 시장 점유율 2위 한국 수혜 입을 수도"
미국과 중국의 관세 휴전으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살아나고 있지만, 2차전지 관련주는 정책 불확실성과 수요 부족 여파로 투자자 이목을 끌지 못하고 있다.
당장 미국의 세제 정책 변화 등이 악재로 작용하겠지만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인 중국에 대한 미국의 견제가 본격화될 경우 시장 점유율 2위이자 우방인 우리나라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2차전지 관련주는 소폭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다. 지난 거래일에 관련주들이 일제히 52주 최저가를 기록하자 저가매수세가 몰렸다는 평가다.
2차전지 대장주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전 거래일보다 0.34% 오른 29만1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공모가(30만원)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SK이노베이션은 0.34%, 삼성 SDI는 2.85%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다.
향후 상승세로 이어질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관측이 엇갈리고 있다.
우선 미국과 유럽 등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인 중국 견제가 본격화될 경우, 우방국인 한국 기업들의 운신 폭이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김현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에너지 전환의 기초자산인 배터리 공급망을 중국이 장악하고 있다"며 "배터리는 에너지 안보 관점에서 다뤄야 할 전략 물자다. 향후 비관세장벽을 적극 활용한 중국 공급망 의존도 완화 시도가 미국과 유럽에서 지속 전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에 이어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 2위인 한국의 수혜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이진명·김명주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탈중국 노선은 중국산 배터리 관세 부과로 더욱 강화돼 국내 업체들의 경쟁 우위가 예상된다"며 "특히 중국산 점유율이 87%인 ESS(에너지저장장치)용은 향후 비중국산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국내 업체들에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시계를 좁혀 업황부터 살펴보면 풀어야 할 숙제들이 적지 않다. 무엇보다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 정책에 적극 호응했던 우리 기업들의 출구 전략이 만만치 않다.
미국 하원에서 공화당이 발의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수정법안에는 ▲친환경차(전기차)에 지원되는 각종 보조금 항목에 대한 조기 종료 ▲생산세액공제(AMPC)에 대한 단계적 종료 및 제한 조치 등이 담겼다. 바이든 행정부가 힘주어 추진했던 '친환경 정책'을 사실상 백지화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장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공화당의 수정 법안이 통과되면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차 지원에 쓰이는 각종 보조금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집권 2년차 내로 모두 종료되는 셈"이라며 "미국 시장 내 전기차 수요는 IRA 기존 법안 당시와 달리 가격 상승 부담으로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 2차전지 업체들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 연구원은 "AMPC는 2031년까지 단계적 종료를 밟게 돼 그나마 다행"이라면서도 "현재 행정명령에 의해 AMPC를 포함한 IRA 관련 모든 자금 지급이 중단된 상태다. 자금 지급 중단이 풀리지 않으면 AMPC 수취 가능성이 불분명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