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베트남, 상호관세율 46% → 20%
韓 업계 "숨통은 트여...불확실성 여전"
정부, 유예 시한 맞춰 대응전략 마련 총력
미국과 베트남이 기존 46%의 상호관세율을 20%까지 대폭 낮추기로 합의하면서 현지에 수출 생산기지를 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숨통을 틔우게 됐다. 다만 기업들은 이번 조치를 '일부 해소'로 평가하며, 여전히 다른 생산국 관세 체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 시간) 베트남과의 무역 협상이 타결됐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 계정을 통해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대화 후 베트남과 막 무역 합의를 했음을 발표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이는 우리 두 나라가 협력하는 위대한 합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지난 4월 베트남에 대해 46%의 상호관세율을 책정했는데, 양국의 이번 합의를 계기로 이를 20%로 대폭 인하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양 국의 이번 합의로 베트남에 생산 거점을 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가장 큰 불확실성 중 하나를 걷어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박닌과 타이응우옌 등에 스마트폰·가전 공장을 운영 중이며, LG전자는 하이퐁 공장을 통해 TV, 생활가전 등을 생산하고 있다. 베트남은 두 회사의 글로벌 생산량 중 스마트폰은 약 50%, TV는 약 40%를 담당하는 핵심 기지다.
앞서 미국이 베트남에 최대 46%의 상호관세율을 부과하면서 국내 기업들은 수출 차질과 수익성 악화 우려가 컸다. 이번 합의로 부담이 다소 완화되긴 했지만, 기업들은 이번 조치를 '일부 해소'로 받아들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높은 수준의 관세율이 인하된 것은 부담을 충분히 덜 수 있는 일"이라면서 "하지만 여전히 20%도 높은 수준이고, 다른 주요 국가의 관세율도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베트남 외에 다른 생산 거점에 대한 관세 체계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라면서 "생산 전략을 재정비하고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선 베트남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의 관세율도 구체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폴리티코 등 미국 외신들은 미국과 베트남의 합의가 현재 미국과 협상 중인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 상당한 의미를 내포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유예기간 연장은 없다고 못 박은 만큼 협상이 급물살을 타는 동시에 국내 기업의 주요 생산 거점국의 상호관세율도 '인하'에 무게가 실릴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 유예 기간 만료 시점(오는 8일)을 시한으로 삼아 각국과 관세율, 무역균형, 비관세 장벽 철폐 등을 둘러싼 무역 협상을 긴밀히 진행하고 있다. 베트남에 앞서 영국과 지난달 최종 합의를 했다.
한편, 미국의 관세 유예 종료 시한이 임박한 만큼, 우리 정부는 대응전략 마련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제48차 통상추진위원회를 개최했다.
여 본부장은 "미국 측 관세유예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유예기간 연장 여부를 포함, 향후 미측 관세조치 향방이 매우 가변적이고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9일 이후 유예 종료와 국가에 따라서는 추가적 관세 부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엄중한 상황인 바 범정부 차원에서 우리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헸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