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스트레스] 美 “100개국엔 10% 관세…8일까지 합의 못하면 기존 관세”

김상도 기자 (marine9442@dailian.co.kr)

입력 2025.07.04 06:18  수정 2025.07.04 06:26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 5월6일 미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하원 세출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 AP/뉴시스

미국 정부는 오는 8일 만료되는 상호관세 유예기간을 앞두고 “무역 상대국 중 약 100개국이 최저치인 10%의 상호관세율을 적용받게 될 것”이라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미 블룸버그TV 등에 따르면 미국의 관세협상을 이끌고 있는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이날 인터뷰를 통해 협상 마감 시한(8일 자정) 전에 다수의 무역 합의가 발표될 것이라며 “최소 상호 관세인 10%를 부과받는 국가가 약 100개국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상호관세 추가 연장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그들(무역 상대국)이 결승선(합의)을 통과해야 하는 시점에 공개적으로 기간을 10% 더 연장하겠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라며 관세 유예기간까지 합의를 이루지 못할 경우 기존에 책정한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베센트 장관이 언급한 상호관세율 10%는 지난 4월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발표한 각국별 상호관세의 최저치다. 모든 무역 상대국에 적용하는 기본관세율이다. 미국의 교역 상대국 약 200개국 가운데 절반 가량은 기본 10%만 부과하고, 나머지 국가에는 이보다 높은 상호관세율을 적용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전세계 모든 무역 상대국에 10%의 기본관세를 일률적으로 부과한 뒤 국가별 추가 관세를 별도로 발표했다. 한국의 경우 10%의 기본관세에 15%의 추가 관세를 합한 25%의 상호관세가 책정됐다.


베선트 장관은 9일 이후로 상호 관세 유예기간을 연장할지는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수차례 협상에도 합의를 이루지 못한 일본과 협상에 대해 “국내 정치가 협상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을 수 있다”며 “일본은 훌륭한 동맹국이지만, 20일 참의원 선거로 인해 국내 제약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부연했다.


관세 유예 기간 만료 시점을 나흘 앞둔 이날까지 미국과 관세 협상을 마친 나라는 영국과 베트남 2곳에 불과하다. 미국은 전날 베트남산 수입품에 20% 관세를 매기고 제3국을 통한 우회 수출(환적) 상품에는 40%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협상을 타결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CNBC방송에 “베트남에서 발생하는 무역 상당 부분이 중국에서의 환적 거래”라며 중국의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한 조치였음을 시사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상도 기자 (marine944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