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재생에너지 육성 시장확보 방안 등 논의
한국수자원공사 ESG 경영 사례 검토
기획재정부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은 10일 충북 충주 유네스코국제무예센터에서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 충북도청, 충주시청 등 지자체, 태양광 산업 관련 연구기관, 밸류체인 기업 등과 함께 태양광 재생에너지 분야 민관협의체 간담회를 개최했다.
2050 탄소중립의 핵심은 에너지전환으로 태양광 재생에너지는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청정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태양광은 온실가스나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원이 고갈될 염려가 없으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유지 보수 비용도 적게 든다.
최근 생성형 AI 산업의 전 세계적 확산으로 전력 소비 및 탄소배출이 급증하고 있으며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오는 2026년 전 세계 전력 소비 예상 증가량의 15.4%가 AI 및 데이터센터 부문에서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갈수록 심화되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재생에너지 투자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도 재생에너지의 체계적인 확대를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고 태양광 재생에너지 관련해서는 산단형·건물형 태양광 우수입지 발굴, 전력망 여건을 고려한 계통부담 완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 기업 공동 활용 연구센터를 구축하고 차세대 게임체인저인 탠덤 태양전지 등 초격차 기술 연구개발(R&D)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수상 태양광의 경우 별도의 토목공사와 산림 훼손이 적고 수면에 설치해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며 수면의 냉각 효과로 육상 태양광에 비해 발전효율이 더 높은 편이다.
그러나 빛 반사, 전자파, 수질오염 등으로 인한 농축산 피해 우려에 대해 주민 수용성 확보 등 ESG 경영의 중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이날 추진단은 충주댐의 수상 태양광 시설을 방문해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 과정과 환경 안전성을 살펴봤다.
이어진 간담회에서는 수상 태양광을 포함한 태양광 기술 동향을 진단하고 ESG 경영의 중요성 등을 함께 논의했다.
참석 기업들은 ▲국내 태양광 산업 육성 ▲국내 태양광 보급 확대 ▲태양광 핵심 기술개발 지원 등을 건의하고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
신상훈 단장은 “태양광 재생에너지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국가 전력의 중요한 수단”이라며 “국내 기업이 중심이 되는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을 적극 뒷받침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수용성과 안전성을 높여갈 수 있도록 정부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