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의 감독이 새로운 현실밀착형 스릴러로 관객을 찾는다.
14일 서울 중구 앰버서더 서울풀만호텔에서 넷플릭스 영화 '84제곱미터'의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현장에는 배우 강하늘, 염혜란, 서현우와 김태준 감독이 참석했다.
'84제곱미터'는 84제곱미터 아파트로 내 집 마련에 성공한 영끌족 우성(강하늘 분)이 정체를 알 수 없는 층간소음에 시달리며 벌어지는 일을 그린 스릴러물이다.
이날 김태준 감독은 작품 제목과 관련해 "'84제곱미터'는 아파트의 가장 대중적인 전용면적이다. 아파트의 기준이 있다는 것, 국민평형이라는 개념 자체가 전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있는 단어라고 하더라. 84제곱미터가 우리나라의 독특한 아파트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숫자라고 생각해서 제목을 이렇게 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전작에 이어 이번 작품에서도 '층간소음'이라는 현실적인 소재를 택했다. 김 감독은 "우리나라 주택의 80%가 공동주택이고, 그중에서도 아파트가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떄문에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 국민의 80% 정도는 층간소음을 겪거나 겪을 수 있는 환경에 처해있다는 것인데, 그래서 많은 분들이 공감할 수 있고 시의성있는 소재라고 생각했다. 층간소음에 대해 다양한 시선들, 이면의 이야기를 담으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에서 시작하게 됐다"고 전했다.
강하늘은 층간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점점 무너져가는 우성을 연기한다. 그는 "아파트를 사게 된 후에 이유를 알 수 없는 층간소음을 겪으며 점점 쇠약해져가는 인물이다. 층간소음으로 인해 점점 예민해져가는 모습, 스트레스가 극에 치달아가는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감독님과 이야기를 많이 했다"고 밝혔다.
아파트 최고층 펜트하우스에 사는 입주민 대표 은화를 연기한 염혜란은 "은화는 흔히 볼 수 없는, 굉장히 권력현 부자다. 부자 중에서도 권력을 가진 사람이라 법망을 피해가는 법을 알고, 자본주의에서 법의 운용을 잘 알아서 부를 축적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은하는 나의 욕망에 대해 도움을 줄 것 같은 사람이다. 이 사람을 건드리지 않고 이용만 하면 덕을 볼 수 있을 것처럼 보이도록 접근하고자 했다. 또 감추고 있는 것이 많은 인물이라 '이 사람이 우리 편인가 아닌가'하는 의문이 계속 들텐데, 감독님께서 그 미묘한 선을 계속 봐주셨다"고 덧붙였다.
서현우는 수상한 아우라의 윗집 남자 진호 역을 맡았다. 그는 "겉보기에는 위압적이고 문신에 흉터들까지 보이는 만큼 산전수전 살아온 것 같지만, 한편으로는 공감을 많이 하는 캐릭터다. 우성이에 대해 동병상련을 느끼고, 연민을 느끼고 우성을 도와서 층간소음의 근원지를 파헤치는 열정적인 인물이다"라고 말했다. 또 "감독님께서 굉장히 많은 일을 헤쳐온 사람같은, 실전형 파이터의 몸을 바라셔서 피지컬적인 노력을 많이 했다"며 웃었다.
김태준 감독의 섬세한 연출도 관전 포인트다. 김 감독은 "우선 층간소음 사운드 연출에 대한 고민을 깊게 했다"며 "실제 공간에서 듣는 것같은 현실 소음을 잘 표현하고 싶었는데, 과하게 표현하면 시청하실 때 방해가 되지 않을까 고민이 있었고 그래서 층간소음을 소음이 아닌 영화적인 사운드로 느끼실 수 있도록 균형을 잡고자 했다"고 말했다.
또 "제목이 '84제곱미터'인 만큼 공간을 현실감있게 구현하고 싶었다. 아파트라는 공간이 좁은 공간이다보니 이 공간을 영화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고민이 많았다. 그래서 아파트를 최대한 현실적으로 구현하되 소품, 조명 등의 변화를 통해 공간이 정체되어 있기 않고 인물의 감정을 따라 변화하는 것 같은 느낌을 주기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우성의 집의 키워드는 '감옥'이다. 보금자리로서의 집이라기보다는 갇혀서 빠져나가고 싶어도 빠져나갈 수 없는 감옥같은 집이길 바랬다. 이를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특수커튼을 사용해 빛을 차단하거나 창살 그림자가 생길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은하는 층고도 높고 복도도 있고 질감 자체도 생활감이 없는, 아래층 사람들과는 다른 사람으로 보일 수 있도록 구현했고 진호는 무언가 단련하고 있는, 또 무겁고 짓누르는 느낌을 전달하고자 했다"고 전했다.
작품을 통해 아파트를 둘러싼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감독의 시선 또한 엿볼 수 있겠다. 김 감독은 "아파트가 투자처로 변해가는 현상과 이로 인한 청년세대의 어려움을 저도 느끼고 있고, 그런 것들이 조금은 변해야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조심스럽게 갖고 있다. 집만은 편안한 보금자리같은 공간으로 남아야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세 배우의 연기 차력쇼를 넘어선 연기 흠뻑쇼를 기대해도 좋다"라며 웃었다.
'84제곱미터'는 18일 공개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