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이슈] "내 티켓 맞는데"…암표 잡으려다 애꿎은 팬만 '눈물바람'

이예주 기자 (yejulee@dailian.co.kr)

입력 2025.07.25 12:58  수정 2025.07.25 12:58

최근 X(구 트위터)를 중심으로 밴드 데이식스의 팬 콘서트에서 과도하게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친 탓에 티켓을 구매했으나 공연장에 들어가지 못했다는 글이 다수 게시됐다. 게시물에 따르면 미성년자인 A씨는 본인 확인을 위해 학생증을 지참했으나 주최 측에서는 청소년증과 여권의 실물을 요구했고, 사정을 들은 경찰이 신원 확인을 위해 동행해줬음에도 입장을 할 수 없었다.


ⓒJYP

이와 같은 과도한 확인 절차는 성인 관객에게도 그대로 적용됐다. X에 경험담을 올린 B씨는 본인 확인을 위해 신분증을 보여줬지만, 관계자는 신분증 사진과 얼굴이 닮지 않았다며 주소와 주민번호를 불러보라고 요구했고, 그럼에도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며 공인인증서와 학교생활기록부까지 보여달라고 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콘서트 주최 측의 지나친 본인확인 절차로 인해 생긴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아이유의 서울 콘서트 개최 당시 부정 거래 의혹을 받았던 네티즌 C씨는 소명 절차 과정에서 티켓 예매 및 입금 내역, 신분증, 공식 팬클럽 카드 등의 자료를 보냈고, 공연 당일에도 본인 확인 요청에 응했으나 공연장에 입장을 하지 못했고 팬클럽에서도 영구 제명을 당했다고 폭로했다. 이에 소속사 이담엔터테인먼트는 사과문과 함께 일부 제도의 폐지 및 개편을 약속했다.


당초 '본인 확인' 제도는 티켓 예매자와 실제 관객이 동일 인물인지 확인하는 절차로, 암표 근절이라는 취지 하에 만들어졌다. 그러나 지나치게 까다로운 절차로 인해 케이팝 팬덤 내부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고, 이에 하이브는 2월 별도 신분증과 티켓 확인 없이 얼굴 인식만으로 본인 확인을 대체할 수 있도록 '얼굴패스' 제도를 도입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역시도 개인정보 유출 우려로 인해 팬들 사시에서 크게 환영받지 못했다.


이에 지난달 초 한 네티즌은 과도한 본인 인증과 민감 정보 수집 관행을 개선해 달라는 내용의 연서명을 진행했고, 지난달 27일 기준 총 4,266명이 참여했다. 이 네티즌은 이번 데이식스 팬미팅 사건을 계기로 2차 연서명을 시작했다고 23일 밝혔으며, 같은 날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은 올해 국정감사에서 개인정보 침해 사례를 공론화하겠다며 제보를 요청했다.


공연법의 실효성에 대한 지적도 잇따른다. 현행 공연법은 매크로 프로그램을 활용한 암표 거래에 대해서만 처벌(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매크로를 사용하지 않고 웃돈을 붙여 입장권을 재판매하는 행위는 처벌 대상에서 제외된다. 경범죄처벌법은 암표 판매 행위에 대해 20만 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는 현장 판매자를 대상으로 한 규정으로, 온라인상에서 이뤄지는 거래에는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소속사 측의 구체적인 매뉴얼 확보 또한 요구된다. JYP엔터테인먼트는 두 차례의 공식 입장을 통해 "사안의 중대성과 문제점을 인지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발전된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티켓 환불 보상 및 절차를 안내했다. 다만 향후 본인 확인 절차의 개선 방향이나 규정 수정 등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은 언급되지 않았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이예주 기자 (yeju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