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대응 위해 One Health 전략 논의
국내외 전문가 진단기술·정책 공유…국제 감시체계 협력 모색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축산검역본부는 15일 ‘2025년 조류인플루엔자 국제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원헬스(One Health)’ 기반 대응전략과 국제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원헬스는 사람, 동물, 환경의 건강이 서로 밀접히 연결돼 있다는 개념으로, 질병 대응과 건강 증진을 위한 국제 보건 협력 모델이다.
올해 7회째를 맞은 심포지엄은 기존 검역본부 단독 주관에서 벗어나 농식품부와 공동으로 개최됐다. 방역 정책과 연구 동향을 함께 다뤄, 선제적 대응전략과 국제 공조를 한층 강화했다는 평가다.
행사에는 국내외 조류인플루엔자 전문가와 지자체, 환경부, 질병관리청, 생산자단체 등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했다.
1세션에서는 한국·호주·일본의 세계동물보건기구(WOAH) 표준실험실 소속 전문가들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현황과 연구 동향을 발표했다. 2세션에서는 농식품부와 질병관리청 관계자, 학계 전문가들이 국내외 방역정책을 소개하고, 국제 동물인플루엔자 전문가 네트워크(OFFLU) 집행위원장이 감시·통제 전략과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응 방안을 공유했다.
이어진 패널 토의에서는 국내 방역 당국과 해외 전문가들이 고병원성 AI 방지를 위한 정책 제언과 통제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최정록 농식품부 방역정책국장은 “고병원성 AI는 공중보건 측면에서 국가재난형 가축전염병으로, 방역 주체 간 유기적 협력과 국제 공조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정희 검역본부 본부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국제 공조 기반 방역 체계를 점검하고, 전문가 간 협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국내외 전문가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