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재건축·재개발 더 빠르게"…정비사업 속도전 강조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입력 2025.08.13 08:52  수정 2025.08.13 08:52

'대시민 정비사업 아카데미' 참석, 吳시장 특강

속도감 있는 주택공급, 삶의 질 혁신 강조

오세훈 서울시장이 12일 용산꿈나무종합타운에서 열린 정비사업 아카데미에서 서울시 정비사업 방향과 추진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대시민 정비사업 아카데미'에서 속도감 있는 정비사업을 강조했다.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 시장은 전날 오후 용산꿈나무종합타운에서 '대시민 정비사업 아카데미'를 참석해 재개발·재건축 정책 방향 및 공급 전략을 시민들과 공유했다.


해당 아카데미는 조합원 등 이해관계자는 물론 시민들에게 정비사업 개념과 절차를 알기 쉽게 설명하고, 서울시 주택정책 비전과 노력, 주택공급 확대 성과를 알리는 소통의 장이다.


오 시장은 "지난 10여년간 서울의 재개발·재건축은 사실상 중단됐고, 이에 더해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대상지 393곳 또한 해제돼 서울의 주택공급에 '빨간불'이 들어왔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멈춰진 공급 시계를 다시 돌리기 위해 2021년부터 정비사업 정상화 방안을 시행, 사업추진 기반을 마련했다"며 "2023∼2024년 활성화 단계에 접어들어 사업 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침체한 정비사업에 실질적인 동력을 불어 넣었다"고 덧붙였다.


올해는 규제 철폐와 혁신을 핵심으로 주택공급 속도를 최대치로 끌어올린단 방침이다.


그는 "속도, 공공 책임, 삶의 질 개선이라는 3가지 키워드를 핵심으로 재개발·재건축 공급 시계를 신속하게 돌려 더 많은 집을 더 빠르게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2021년 신속통합기획, 2022년 모아타운·모아주택을 차례로 도입, 재개발을 가로막던 '주거정비지수제' 폐지 등을 통해 정비구역 지정 소요 기간을 평균 5년에서 2.5년으로 앞당겼다.


이를 통해 정비구역 지정 건수는 과거 10여년간 연평균 12곳에서 최근 4년간 연평균 36곳으로 3배가량 증가했다. 현재까지 확정된 정비구역은 145곳, 약 20만가구 규모다.


시는 올해 ▲높이규제지역 공공기여 완화 ▲통합심의 소방·재해 분야까지 확대 시행 ▲녹지확충 결정(입체공원) 용적률 완화 ▲조합직접설립 보조금 동의율 완화 등 주택공급에 속도를 내기 위한 규제 철폐를 적극적으로 단행했다.


오 시장은 또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은 공공과 민간이 함께 서울의 주거 미래를 만들어 가는 중요한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주택시장을 안정시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더 많은 집을 더 빠르게 공급하는 것"이라며 "서울시는 혁신적인 주택공급 정책을 추진해 주택공급 시계를 더 빠르게 돌리겠다"고 언급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서울역 배후 지역인 용산구 서계동 일대 주민들이 참석했다. 서계동 일대는 경사도가 높은 구릉지로 과거 도시재생사업으로 주거 환경이 개선되지 못해 장기간 개발이 지연됐다.


최근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및 모아타운 대상지로 선정돼 개발이 추진 중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