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악화된 카드업계, 원화 스테이블 코인으로 새로운 성장 모색
비자(Visa)·USDC 결제 성공 사례, 카드사 스테이블 코인 사업 당위성 증명
여전법 개정 및 카드사 우선 인허가로 디지털 결제 혁신·경제 효율성 제고 기대
최근 국내 카드업계는 가맹점 수수료율의 지속적인 인하로 인해 본업인 신용판매 부문에서 수익성 악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카드사의 중장기적인 성장 동력확보를 위해 주목되는 분야가 바로 원화 스테이블 코인 사업이다.
스테이블 코인은 가격 변동성이 낮은 가상자산으로, 원화와 연동된 코인은 국내 지급결제 시장에서 안정적인 디지털 결제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카드사의 광범위한 가맹점 네트워크와 결제 인프라를 바탕으로 원화 스테이블 코인 발행 및 운영 사업에 진출하는 것은 지극히 타당하다.
법적 측면에서도 여신전문금융업법에 스테이블 코인 관련 업무를 카드사의 부수업무로 포함시키는 법 개정이 시급한 상황이다.
현재 카드사는 법령에서 정한 한정된 업무만 수행할 수 있으나, 스테이블 코인 사업을 부수업무로 추가하여 사업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국민경제적 측면에서 원화 스테이블 코인의 도입은 결제 수수료 절감을 통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한 결제 시스템은 기존 카드 결제, PG사, VAN사 등을 거치지 않아도 소비자와 가맹점 간 직접 결제가 가능해진다.
이는 중개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카드사가 과거 지급하던 결제 수수료 부담을 경감시키고 해당 재원을 가맹점과 소비자 혜택으로 재분배하는 효과를 낳을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보안 서비스 등 신규 부가가치 창출로 이어질 수 있어, 국민경제에 긍정적인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실제로 스테이블 코인 활용 시 평균 결제 수수료는 기존 신용카드나 해외 송금 대비 크게 낮아지고, 결제 승인부터 정산까지 걸리는 시간도 대폭 단축된다. 이는 가맹점의 자금 유동성을 높이고, 소비자 편의성을 높여 결제 생태계의 혁신을 촉진할 것이다.
비자(Visa)는 스테이블 코인을 결합한 결제 솔루션을 통해 글로벌 결제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성공 사례를 만들어 내고 있다.
비자는 2023년부터 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 코인인 USDC를 활용해 자체 결제 인프라인 VisaNet에서 스테이블 코인을 통한 거래 정산을 시범 운영해왔으며, 현재까지 2억2500만 달러 이상의 스테이블 코인 거래량을 처리한다.
이 시스템은 카드 발급사와 전표매입사 간에 USDC를 직접 주고받을 수 있게 해 기존 달러 송금 대비 정산 시간을 크게 단축하고 외환 수수료 비용도 줄이는 혁신을 이루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닷컴(Crypto.com)은 비자의 이 시스템을 통해 USDC로 직접 결제와 정산이 가능해지면서 사전 정산 시간을 8일에서 4일로 절반가량 단축하고 FX(외환)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었다.
이처럼 비자는 광범위한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와 첨단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해 스테이블 코인을 통한 실시간, 저비용, 안전한 결제 시스템 구축에 성공하는 등 결제 시장의 새로운 성공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비자는 카드 발급사·가맹점·소비자 모두에게 실질적 비용 절감과 편리성을 제공하고, 디지털 화폐 시대의 결제 인프라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해당 사례는 국내 카드사들이 원화 스테이블 코인 사업자로서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는 논리에 강력한 뒷받침이 된다.
상기 사례는 결제망과 가맹점 네트워크를 폭넓게 보유한 카드사가 스테이블 코인 사업자 역할을 맡을 때 시장 안정성과 효율성, 소비자 신뢰 모두 동시에 달성 가능함을 실증한 사례이다. 또한 비자처럼 국내 카드사도 이미 전국적(혹은 광역) 가맹점 네트워크, 결제/정산 시스템 등 사회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이로써 카드사는 새로운 결제·인증 시장에서도 안정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보장할 적임자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카드사는 기존 가맹점 인프라를 활용해 원화 스테이블 코인 사업자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는 최적 대상자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여신전문금융업법에 스테이블 코인 관련 업무를 부수업무로 포함시키고, 카드사에 우선적 원화 스테이블 코인 사업 인허가를 부여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카드사에게 새로운 성장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가맹점 및 소비자에게 실질적 혜택이 제공되며, 궁극적으로 국민경제의 디지털 전환과 효율성을 촉진하는 순기능이 기대된다.
글/ 서지용 상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jyseo@smu.ac.kr / rmjiseo@hanmail.net)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