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외신들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소셜미디어(SNS) 폭탄발언에도 훈훈한 분위기에서 마무리됐다고 평가했다.
미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과의 만남에 앞서 한국에서 ‘숙청이나 혁명이 벌어지고 있다. 서울과 거래하지 않겠다’고 위협하는 글을 소셜미디어(SNS)에 올렸다”며 “그러나 적대적인 오벌오피스(집무실) 회담 가능성은 이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을 향해 칭찬을 쏟아내면서 사라졌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오벌오피스 리모델링과 세계 평화를 위한 노력,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 최고치 기록 등을 언급하는 등 트럼프 대통령에 찬사를 건넸고 트럼프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 노력에 계속 힘써달라고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AP통신은 이어 “세계 정상들이 트럼프와의 과거 회담에서 교훈을 얻고 있다”며 “무역조건과 군사지원을 얻기 위해 대결보다는 칭송과 아부를 택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미 워싱턴포스트(WP) 역시 정상회담 분위기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WP는 회담 전인 이날 오전 트럼프 대통령의 SNS 게시글과 관련해 이 대통령이 지난 2월 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처럼 “궁지에 몰릴 수 있다”고 예측한 바 있다. 당시 젤렌스키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 및 JD 밴스 부통령과 고성이 오가는 등 격렬한 언쟁을 벌인 후 광물협정 서명식과 공동 기자회견이 취소된 채 쫓겨나다시피 백악관을 떠나야 했다.
미 블룸버그통신은 “두 정상은 북한과 국가 안보, 조선업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을 위해 낙관적인 입장을 보였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했으며 ‘우리는 당신과 100% 함께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날 오전 한국의 정치적 안정성에 의문을 제기한 것과는 대조적”이라고 전했다. 미 NBC방송도 조선산업을 다시 살리려는 한·미 양국의 노력이 국가 안보 측면에서도 중요하다며 이번 프로젝트가 한국에는 전략적 승리라고 평가했다.
영국 로이터 통신은 “이 대통령은 지난 2월 젤렌스키 대통령이나 5월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 방문 때처럼 연극적인 대치 상황을 피했다”며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을 방문하는 외국 정상들이 사용해온 익숙한 전략을 활용했다. 골프 이야기를 하고, 공화당 대통령의 집무실 인테리어와 평화 중재 능력을 칭찬했다”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