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오는 9월 한 달간 민생규제 집중신고기간을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집중 신고기간은 3월과 9월 상·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는 시민 참여형 규제 개선 정책이다.
하반기에는 9월 한 달 동안 운영된다. 시민은 이메일을 통해 규제 애로사항을 간편하게 접수할 수 있고, 기업이나 기관은 ‘찾아가는 지방규제신고센터’와 연계, 현장에서 직접 상담·접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시민 누구나 생활 속 불편 사항을 자유롭게 제출할 수 있으며, 이메일을 통해 현황과 문제점, 관련 법령, 개선 방안 등을 작성해 보내면 된다.
또 접수된 건의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4일 이내 이메일로 결과가 회신되며, 규제 개선과 직접 관련이 없는 사안은 국민신문고 등 다른 민원 창구로 안내된다.
인천시 관계자는 “규제 개선은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접수된 의견은 시가 적극적으로 검토해 실질적인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AI기반 ‘i-지적업무편람’… 12월 공식 운영
인천시는 지적업무 관련 규정·편람·질의회신·사례집 등을 생성형 AI(인공지능)에 학습시켜 군·구 담당자의 업무 처리를 지원하는 ‘i-지적업무편람’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시는 오는 9~12월까지 4개월간 지적업무 자료(업무편람·질의회신·사례집·법령해석 등) 체계적 수집·정리 쳇(Chat)GPT 학습 및 문답형 데이터 구축, 시·군·구 실무자 중심 전담팀(TF) 운영, 실무 검증·테스트를 거쳐 12월 정식 운영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방대한 지적 자료를 신속하게 검색·해석하고, 근거 자료와 연계된 실시간 질의응답 환경을 제공, 업무 효율성과 정확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적업무는 법령과 절차가 복잡해 단순 검색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또 군·구별 담당자의 업무 경험과 숙련도 차이로 동일 사안에 대한 접근이 달라지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시는 ‘쳇(Chat)GPT 기반 문답형 지식체계’를 구축해 업무 처리의 정확도를 높이고 실무자가 즉시 참고할 수 있는 업무 보조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AI 기반 i-지적업무편람은 단순한 검색 자료를 넘어, 실무자가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업무 보조 시스템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