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월 10대 건설사 수주액 31조6833억…최대 예상
“현장 많으면 사고도 많아”…착공시 ‘과부하’ 경고등
“작업자·자재 공급 부족 가능성…안전관리 리스크↑”
올해 건설사들의 활발한 도시정비사업 수주 활동으로 역대 최대치의 수주 실적을 달성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용산과 강남, 압구정, 성수 등 굵직한 사업지에서 시공사 선정에 나서자 건설사들도 부지런히 수주 곳간을 채우는 모습이다.
하지만 해당 현장들의 착공이 본격화되면 건설사들의 관리 역량을 넘어서는 현장 운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5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8월까지 10대 건설사의 도시정비사업 수주 실적은 31조6833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수주액인 27조8700억원을 이미 4조원 가까이 넘어선 상황이다.
건설사별 수주액을 살펴보면 삼성물산이 7조828억원으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현대건설이 5조5357억원, 포스코이앤씨도 5조302억원의 실적을 거뒀다.
그 뒤를 이어 GS건설(4조1650억원)·롯데건설(2조9290억원)·HDC현대산업개발(2조8270억원)·DL이앤씨(2조6790억원)·대우건설(1조1120억원)·SK에코플랜트(3040억원) 등의 순으로 수주 실적을 기록했다.
연말까지도 압구정 2구역, 성수전략정비구역 1지구 등 시공사 선정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올해 연간 수주 실적이 역대 최고 수주액인 지난 2022년의 33조4000억원을 뛰어넘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다만 이처럼 활발한 수주 활동 이후 착공에 돌입할 시기가 도래했을 때 여러 사업장들의 공사 시기가 겹치면서 건설사의 관리 능력 한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근에 잇따르고 있는 중대재해 사고 발생과 아파트 하자 문제 등이 동시 다발적으로 터져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이슈가 대두된 가운데, 주 4.5일제 도입과 사망사고 발생에 대한 건설사에 대한 강력한 제재 등이 논의되고 있어 안전 비용 및 인건비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사업성과 상징성이 뛰어난 사업지들이 많았던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필연적으로 건설 현장이 많으면 사고 발생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말했다.
이어 “요즘엔 사망사고가 발생하면 전 현장이 멈춘다”며 “사고에 대한 책임도 크게 묻겠다는 정부 의지가 강한 만큼 최근 많이 수주해 놓은 현장들이 나중에 독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포스코이앤씨의 경우 올해 반복된 사망사고로 신규 수주에 조심스러운 상황으로 DL이앤씨와 GS건설도 사고 발생으로 대대적인 건설현장 점검에 나섰던 만큼 신규 수주에 보다 신중을 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동시다발적으로 착공량이 많아지게 되면 건설현장에서 직접 시공을 담당할 인력을 수급하기 어렵다는 점도 제기된다.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동시에 운영되는 현장이 많아지면 작업자나 자재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 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다”며 “작업자 수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결국 공사 진행에 차질이 생기고 다양한 변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고숙련된 인력을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외국인 인력 유입이 확대되면서 안전 관리의 어려움이 커지는 등 리스크도 확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건설사가 생산능력 토대로 사업을 수주·관리하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진 않을 것이란 반론도 나온다.
이은형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갑자기 착공량이 많아지면 당연히 건설사의 부담이 커질 수 있지만 건설사들도 각자의 생산 능력을 예측해 사업을 수주하고 현장을 운영하고 있다”며 “부족한 인력은 상황에 맞게 채용하면 되기 때문에 유동적인 건설 현장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