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네트워크·국내 유통망 결합해 시너지 모색
초저가 공세로 가격 경쟁력 확보 가능성 부각
개인정보 관리 신뢰 확보 여부가 향후 관건
공정거래위원회가 신세계그룹의 지마켓(G마켓·옥션)과 중국 알리바바그룹 산하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의 동맹을 조건부 승인하면서 양사의 합작법인이 공식 출범하게 됐다.
양사는 신세계가 축적한 국내 유통 경험과 알리바바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로써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쿠팡과 네이버에 이어 세 축이 맞서는 ‘삼파전’ 구도로 재편될 가능성이 커졌다.
18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날 신세계와 알리바바그룹이 합작회사를 설립할 때 G마켓과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 간 국내 소비자 데이터를 분리해야 한다는 조건으로 기업결합을 조건부 승인했다.
이에 따라 G마켓과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는 신세계그룹과 중국 알리바바인터내셔널이 5대 5로 출자해 설립한 합작법인 '그랜드오푸스홀딩'의 자회사로 편입돼 '한 지붕 두 가족' 구조로 사업을 운영하게 된다.
양사는 이번 협력으로 시너지를 낸다는 계획이다. 알리는 G마켓이 가진 한국 시장에서의 경험치를 바탕으로 한국에서의 입지를 강화한다.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의 중국산 상품의 국내 판매도 지마켓 플랫폼과 물류망, 신세계가 가진 유통 역량을 결합해 강화될 전망이다.
G마켓은 알리가 보유한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국내 판매자들의 해외수출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G마켓 판매자들이 해외에 판매할 상품은 약 2000만개에 달하는 상황이다.
양사는 우선 싱가포르, 베트남,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5개국을 1차 진출 무대로 삼고, 알리바바그룹이 운영하는 현지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 ‘라자다(Lazada)’에 한국 상품 전용관을 열기로 했다.
이후에는 유럽과 남아시아, 남미, 미국 등 알리바바가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200여개 국가와 지역으로 판매망을 넓힌다는 계획이다.
G마켓 판매자들은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가 운영하는 한국 상품 전문관 ‘케이베뉴(K-Venue)’에도 입점할 수 있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지식재산권 보호 장치를 강화하는 동시에 지마켓과 협업해 국내 상품 라인업을 확대한다.
신세계와 알리바바는 이날 "한국 판매자의 글로벌 진출을 적극 지원해 우수한 '한국 상품'의 해외 판매를 늘리겠다"며 "양사 협업을 통해 고객에게는 상품 선택의 폭을 크게 늘려주고 첨단화된 쇼핑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G마켓과 알리의 합작법인이 본격 등장하면서 국내 이커머스 판도가 변화할 것이라고 바라보고 있다.
현재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쿠팡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는 가운데 그 뒤를 알리익스프레스, G마켓, 네이버 등이 잇고 있다.
리테일 분석업체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쿠팡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3422만명으로 압도적 1위다. 이어 알리익스프레스(920만명), G마켓(668만명), 옥션(266만명), 네이버플러스스토어(431만명) 등이 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최근 이커머스 업계는 쿠팡의 독주를 막기 위해 '합종연횡'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다.
네이버도 지난 3월 쇼핑앱 '네이버플러스스토어'를 내놓고 본격적으로 이커머스를 강화하기 시작한 데 이어 이달부터 컬리와 손잡고 '컬리N마트'를 오픈해 그동안 약하다는 평가를 받아온 신선식품 분야를 강화했다.
G마켓과 알리의 동맹도 서로의 강점을 살려 이커머스 업계 판을 뒤흔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알리의 초저가 중국산 제품을 통해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일각에는 G마켓과 알리가 충성고객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차별화 전략과 쿠팡 로켓배송 수준의 강력한 물류 능력이 수반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G마켓이나 알리익스프레스는 네이버나 쿠팡만큼 충성 소비자 수가 많지 않다"라며 "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충성고객을 만들 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중국 기업 데이터 유출에 대한 불안감이 큰 국내 시장에서 G마켓과 알리 합작법인이 얼마나 신뢰를 줄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공정위도 이 같은 논란을 의식해 양사의 독립 운영, 소비자 데이터 분리, 상대방 데이터 활용 금지 등 조건을 달았다.
그러나 이런 장치가 실제 운영 과정에서 얼마나 지켜질지는 미지수라는 의견도 나온다. 기술적으로 완벽히 분리가 가능하다는 보장이 없다는 것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국내 소비자들은 중국 기업의 데이터 관리에 대한 불안감이 여전히 크다”며 “합작법인이 신뢰를 얻으려면 기술적·제도적 보완책을 꾸준히 입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