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순매수 10종목 모두 상승…코스피 대비 3배↑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대형 반도체주 ‘집중 매수’
개인 수익률 37%…종목별 차별화 양상에 성적 저조
올해 들어 국내 증시가 강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외국인의 투자 수익률이 개인의 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은 대형 반도체주에 집중했으나, 개인은 네이버와 2차전지주를 담는 전략이 성적을 좌우한 것으로 보인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2일까지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증시에서 많이 순매수한 상위 10종목 모두 지난해 말 대비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10종목의 평균 수익률은 145.6%로, 같은 기간 코스피 수익률(47.9%)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높다.
외국인은 국내 대형 반도체주에 집중했다. 가장 많이 담은 종목은 삼성전자(5조6590억원)로, 삼성전자 주가는 지난해 말 5만3200원에서 이달 8만9000원으로 약 67.3% 뛰었다.
두 번째로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SK하이닉스(3조5390억원)로, 지난해 말 17만3900원에서 이달 39만5500원으로 127% 급등했다. 이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241%)·한국전력(77%)·현대모비스(26%)·효성중공업(259%)·카카오(56%) 모두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성적표는 외국인에 비해 저조했다. 올해 개인이 국내 증시에서 많이 담은 10종목 중 6종목이 올랐고 4종목은 내렸다. 순매수 상위 10종목의 평균 수익률은 37%로, 외국인의 4분의 1 수준이며 코스피 상승률을 밑돈다.
개인이 가장 많이 담은 종목은 네이버(2조690억원)로 주가는 27.2% 상승했다. 두 번째로 많이 담은 종목은 삼성SDI지만 주가는 14.8% 하락했다. 순매수 3위인 현대차는 3.8% 오르는 데 그쳤으며, 4위인 SK텔레콤은 1.5% 내렸다.
이 외에도 순매수 상위 종목인 알테오젠(52.3%)·한미반도체(21.9%) 등이 오르고, LG전자(-8.5%)·CJ제일제당(-8.6%) 등은 떨어지는 등 종목별 차별화 양상을 보였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주를 중심으로 한 투자 전략이 여전히 유효할 것으로 보고 있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인공지능(AI)향 메모리 반도체 공급뿐 아니라 AI 인프라 투자 사이클에 따른 반도체 현물가 상승 움직임은 국내 반도체 주가 흐름에 우호적”이라고 밝혔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 역시 “D램의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이 2027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반도체 비중 확대의 적기”라며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은 장기 실적 개선 추세에 진입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