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8%가량 올라…'한강벨트' 집값이 상승세 견인
대출 규제 등 자금부담 가중…'중소형' 대세로 자리매김
올해 서울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0억원을 넘어섰다.
13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9월 말 기준, 서울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0억5006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평균 거래가격이 9억7266만원인 것과 비교하면 약 8% 상승한 금액이다.
구별로는 전년도와 비교해 강남구가 16.7% 오르며 가장 거래가격 상승이 컸다. 이어 마포구(15.9%), 송파구(15.8%), 강동구(13.9%), 성동구(13.7%), 광진구(11.0%) 등 최근 매수세가 이어지는 '한강벨트' 중심으로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세부 지역별로 살펴보면 강남구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해 17억8706만원에서 올해 20억8570만원으로 3억원 가까이 올랐다.
같은 기준 개포동이 20억5302만원에서 25억2137만원으로 22.8% 오르며 가장 많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어 삼성동이 17억4944만원에서 20억6220만원으로 17.9% 올랐고, 역삼동이 19억5859만원에서 22억8224만원으로 16.5% 상승했다.
대치·개포·압구정 등 주요 고가 아파트 단지가 밀집된 13개동 단위(법정동 기준) 중 5개 동의 전용 59㎡ 평균 매매가격이 20억원을 넘어섰다.
마포구는 지난해 11억9708만원에서 13억8788만원으로, 송파구는 13억1720만원에서 15억2588만원으로 각각 2억원가량 뛰었다.
반면 서울 외곽 지역은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제한적이었다. 도봉구의 전용 59㎡ 평균 매매가격은 5억4894만원으로 지난해(5억3974만원)보다 1.7% 상승했고 중랑구는 5억8722만원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금천구의 전용 59㎡ 평균 매매가격은 6억913만원으로 1.8% 하락, 종로구(11억3978만원)는 5.5% 낮아졌다. 두 지역 모두 새 아파트나 역세권 랜드마크 단지보다는 저가 단지 거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2025년 평균 가격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3년간 전용 59㎡의 평균 매매가격 상승폭은 확대되는 모습이다. 서울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23년 9억419만원에서 2024년 9억7266만원(7.6%), 올해는 10억5006만원(8.0%)으로 상승폭이 커졌다.
신축단지의 59㎡ 평면은 공간 활용도가 높아 젊은 세대와 3인 가구 등 실수요층의 선호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특히 전용 84㎡ 대비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해, 대출 규제 강화와 가격 상승 흐름 속에서 자금 여건에 맞춘 집중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은 줄어드는 추세다. 서울 전용 84㎡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23년 11억6597만원에서 2024년 12억7591만원, 올해는 13억8086만원으로 상승했지만, 상승폭은 2024년 9.4%에서 올해 8.2%로 다소 둔화됐다.
84㎡ 자체의 높은 가격 수준과 강화된 대출 규제로 인한 자금 부담, 1~2인 가구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통상 갈아타기 수요가 넓은 평형을 선호하지만 가격 부담 탓에 상급지로 이동하면서도 면적을 유지하거나 축소할 수밖에 없는 상황 등 복합적인 요인도 작용했다.
전용 84㎡와 59㎡는 모두 환금성과 선호도가 높지만, 최근에는 자금 여건과 가구 구조 변화 등을 반영해 전용 59㎡의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전용 84㎡로 여전히 가족 단위 수요가 집중되지만, 가격 수준이 높아지면서 진입장벽이 점차 높아진 탓이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두 면적대는 각각의 수요 기반을 바탕으로 서울 아파트 시장의 가격 흐름을 가늠하는 핵심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실수요가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투자 수요도 환금성과 거래가 활발한 단지를 중심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이러한 흐름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