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 회장 인선 ‘4일 접수’ 논란…금감원 절차 주시
이찬진 “문제 땐 검사”…지배구조 개선 시사
“참호형 인사 경계”…공공성 훼손 우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BNK금융지주 회장 선임 절차를 두고 “절차적으로 특이한 면들이 많이 보인다”며 “문제 소지가 있으면 수시검사를 통해 바로잡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21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BNK금융이 차기 회장 후보 접수를 추석 연휴를 끼고 불과 4일만 진행하는 등 절차의 정당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하자 이같이 답했다.
BNK금융 이사회는 지난 1일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16일까지 차기 회장 후보군 접수를 마감했다. 추석 연휴 기간(12~15일)을 제외하면 영업일 기준 접수 기간은 약 4일에 불과했다.
박 의원은 “과거에는 회장 선임 절차를 두 달 가까이 진행했는데 이번엔 비정상적으로 짧게 마감했다”며 “형식적 절차만 갖춘 채 특정인을 위한 구조가 아니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내부적으로 형식적 절차의 적법성은 있어 보이지만, 특이한 점이 많아 계속 챙겨보고 있다”며 “문제 소지가 드러나면 수시검사를 통해 바로잡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또 “일부 금융지주에서는 회장이 이사회에 자기 사람을 채워 ‘참호’를 구축하는 경우도 있다”며 “이런 구조는 오너 중심 제조업체와 다를 바 없고, 금융의 공공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주회사 연임·3연임 관련 내부통제를 강화하라는 지침을 이미 보냈다”며 “제도 개선 필요성에 대해 정무위원회와 논의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