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는 지난 23일 고양 지역의 미래를 좌우할 K-컬처밸리 민간공모 우선협상대상자 발표, 킨텍스 제 3전시장 착공식, 경기북부 AI캠퍼스 개소식 등 3개 대형 행사를 개최, 글로벌 자족도시 면모를 과시했다고 밝혔다.
ⓒ고양시 제공
3개 행사가 서로 분야가 달랐지만, 고양시의 향후 10년을 결정짓는 변곡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이날 3대 행사를 함께 참석하며 긴밀한 협력 의지를 보였다.
2024년 CJ라이브시티 사업 무산 이후 1년여간 표류하던 K-컬처밸리 사업이 새 출발점을 찾았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이날 세계 최대 공연기획사인 라이브네이션 엔터테인먼트, 라이브네이션 코리아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라이브네이션은 지난해 9월 고양시와 대형공연 유치 업무 협약을 체결한 이후 올해부터 고양시에서 콜드플레이, 오아시스 내한공연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다. GH와 라이브네이션 컨소시움간에 기본협약이 체결되면 2026년 5월 공사 재개 후 2029년 말 준공될 예정이다.
같은 날 킨텍스 제3전시장 착공식도 거행됐다. 총사업비 6726억 원이 소요되고 기존 1·2전시장과 합치면 총 17만㎡에 달한다.
이는 서울 코엑스의 5배 이상 규모로, 세계 최대 전시회인 CES도 유치 가능한 수준이다. 완공 후에는 연간 6조 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3만 명의 고용창출이 기대된다.
고양시는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마이스(MICE) 산업의 거점 도시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고양시 제공
덕양구 창조혁신캠퍼스에 조성된 경기북부 AI캠퍼스도 이날 개소식을 가졌다. 올해 4월 경기도 공모 선정 후 불과 6개월 만이다.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시스코(Cisco), 아이비엠(IBM), 네이버클라우드(NAVER Cloud),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등 글로벌 기업들과 협약을 체결해 AI 실무인재를 양성할 예정이며, 향후 AI 연구·창업·데이터 산업이 결합된 경기북부의 기술 거점으로 운영된다.
이는 고양시가 추진하는 G-노믹스 중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AI-노믹스 정책의 첫 가시적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문화, 산업, 기술이 함께 움직여야 도시가 자립할 수 있다"며 "오늘의 세 현장이 그 방향을 명확하게 보여줬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이어 “고양의 미래를 책임 질 G-노믹스가 현실화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동연 경기지사도 "경기도 발전의 큰 축인 고양시에 감사드리고 고양시민들에게 좋은 결과로 보답하겠다“고 화답했다.
문화·산업·기술이라는 세 축이 하루 만에 동시에 가동된 것은 고양시 역사상 유례없는 일로 고양시가 문화·산업·기술이 융합된 글로벌 자족도시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