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월10일 미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외국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국정운영을 평가하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관세정책에 대한 지지율이 국정 전반 및 다른 개별 정책들에 대한 지지율보다 8%포인트 더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미 워싱턴포스트(WP)와 ABC뉴스가 2일(현지시간) 공개한 여론조사에서 ‘수입상품에 대한 관세를 지지하느냐’는 문항에 “지지한다”는 응답은 33%에 그친 반면 “지지하지 않는다”는 대답은 65%에 달했다. 이 조사는 지난달 24∼28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에 의뢰해 미국의 성인 남녀 2725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이 문항의 오차범위는 ±2.8%포인트다.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수행 전반에 대한 지지율은 41%(오차범위 ±1.9%포인트)였다. 관세정책 지지율이 국정 전체 지지율보다 8%포인트 더 낮다. 경제(37%)와 이민(43%), 이스라엘 및 가자 상황(46%), 범죄 문제(44%), 다른 나라와의 관계(40%), 러시아·우크라이나 상황(39%), 연방정부 운영(36%) 등 다른 항목에 비해서도 관세에 대한 지지도가 가장 낮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20일 집권 2기 출범 이후 관세 정책이 미국의 세수를 늘리고, 미국으로의 거액 투자와 미국 내 제조업 기반 재건을 유도하고 있다고 홍보하고 있지만 미국 시민들은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같은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대통령 권한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오차범위±1.9%포인트)에 64%는 “(권한 확대 방향으로) 과도하게 가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에 비해 30%는 “대체로 올바르게 하고 있다”고 답했고, 5%는 “그렇게 과도한 것은 아니다”라고 답변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