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KBO리그'는 투타에서 막강한 전력을 과시한 두산 베어스의 통합 우승으로 막을 내렸다.
올해 포스트시즌은 4위 LG 트윈스가 신바람을 일으키며 KBO리그 역사상 최초의 한국시리즈 잠실 더비에 대한 기대를 키웠지만, NC 다이노스에 플레이오프에서 밀리면서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LG로서는 플레이오프 1차전 패배가 치명적이었다. 9회초까지 2-0 앞섰던 LG는 9회말 불펜이 무너져 2-3으로 역전 끝내기 패배를 당했다. LG가 1차전을 잡아 마산 원정 2연전을 최소 1승 1패로 맞추고 상경했다면 한국시리즈 티켓의 향방은 알 수 없었다.
1차전 당시 LG는 9회말 시작과 함께 마무리 임정우를 투입했다. 2점차 리드, 1이닝 마무리로 승계 주자도 없는 무난한 세이브 상황. 하지만 임정우는 등판 직후 3연속 피안타로 아웃 카운트를 잡지 못한 채 강판됐고, 결과적으로 패전의 멍에를 썼다.
임정우의 3피안타 중 2개는 변화구 구사에서 비롯됐다. 플레이오프에 선착한 NC는 전력 분석을 통해 임정우가 변화구 비중이 큰 마무리 투수라는 점을 꿰뚫고, 철저히 대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LG 임정우 2016시즌 구종 비율 (기록 출처: 스탯티즈) ⓒ케이비리포트
실제 정규 시즌에서 임정우의 빠른공 비중은 45.2%로 절반을 넘지 않았다.
이는 ‘마무리 투수의 기본은 속구’라는 상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대신 슬라이더 25%, 커브 16.4%, 스플리터가 11.7%를 차지했다. 3종의 변화구를 모두 합하면 절반이 훌쩍 넘는 53.1%이다. 임정우의 높은 변화구 의존도가 기록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그렇다고 임정우가 스피드가 없는 투수는 아니다. 최고 140km/h대 후반의 속구를 구사할 수 있다.(속구 평균 구속 144.6km) 하지만 ‘마무리는 빠른공’이라는 선입견을 가진 상대 타자들이 임정우의 슬라이더와 커브에 방망이를 연신 헛돌리자 그의 변화구 비중은 커지게 됐다.
변화구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임정우의 빠른공의 제구력은 상대적으로 예리함을 잃은 것이 사실이다. 대부분의 마무리 투수들이 2스트라이크까지는 빠른공으로 잡고 결정구로 변화구를 사용하는 패턴과 달리 임정우는 초구, 2구 등 카운트를 잡을 때도 변화구 구사 빈도가 높았다. 물론 이것은 임정우의 속구가 타자들에게 쉽게 공략당한 탓도 있다.(속구 피안타율 0.412, 피OPS(출루율+장타율)1.047)
프로 경력이 길지 않은 젊은 투수들 중에는 빠른공의 가치를 등한시하는 경우가 있다. 빠른공을 던지다 장타를 맞을 것 같은 두려움에 변화구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다. 하지만 빠른공은 그야말로 타고난 투수의 재능이며 모든 구종의 기본이다.
현장의 지도자들 중에는 변화구에 의존하는 투수를 소위 ‘손장난을 한다’며 경계하는 이들도 있다. 변화구 장착에 골몰하거나 변화구의 위력에 의존하다 기존에 지녔던 속구의 구위가 떨어져 이도저도 아닌 평범한 투수로 전락한 많은 투수들의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LG 임정우 최근 4시즌 주요기록 (기록 출처: 야구기록실 KBReport.com) ⓒ케이비리포트
임정우는 정규 시즌에서 3승 8패 28세이브 3.82의 평균자책점으로 풀타임 마무리 첫해에 나름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그러나 이제는 상대도 임정우의 장단점을 주도면밀하게 분석해 내년 시즌에 대응할 것이다. 즉 변화구 위주의 투구에 대한 맞춤형 공략법을 준비한다는 뜻이다.
젊은 선수가 풀타임 첫해에 팀의 주축이 되기는 쉽지 않은 일이지만 임정우는 핵심 보직인 마무리 투수로 안착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어려운 것은 올 시즌 성과를 내년까지 이어가는 것이다. 그를 상대할 9개 구단이 이른바 현미경 분석으로 그의 약점을 파고들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임정우에게는 오프시즌 빠른공을 더욱 가다듬어야 할 이유가 생겼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