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영양학회, 쌀 관련 연구결과 바탕으로 오해 바로잡기 나서
농진청·영양학회, 쌀 관련 연구결과 바탕으로 오해 바로잡기 나서
도정한 백미의 주요 영양 성분은 탄수화물이며, 탄수화물을 지나치게 많이 먹을 경우 만성 질환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백미 섭취와 관련한 연구들을 보면, 절대적인 에너지 섭취량이 많고 권장량 이상을 섭취했을 때의 당뇨나 대사증후군 발생의 위험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 대다수다.
탄수화물 섭취량과 사망의 상관성을 조사한 최근 연구를 보면, 하루 섭취량이 전체 칼로리의 40% 미만인 그룹과 70% 이상인 그룹 모두에서 사망률이 증가했다. 반면 50%~55%로 권장량을 섭취한 그룹은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정량의 쌀밥을 먹는 것이 중요함을 알려준 것으로, 미국 하버드대학과 미네소타대학, Brigham 여성병원 연구팀이 발표한 ‘식이 탄수화물 섭취와 사망률, 전향적 코호트 연구와 메타 분석’ 결과다.
또 쌀이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로는 쌀밥을 먹을 때 반찬과 국, 찌개 등과 함께 섭취하기 때문에 지나치게 많이 먹지 않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할 수 있어 만성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분석이다.
2015년 미국의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쌀 소비량과 건강’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쌀 소비가 식단의 질을 높이고 비만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전통 한식 연구를 통해서도 쌀밥은 전분의 복합당질로 체내에서 서서히 소화 흡수되며, 밥과 반찬을 번갈아 먹어 혈당이 천천히 오르고 식사 섭취량은 줄어 지나치게 많은 에너지 섭취를 막는 것으로 확인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