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트랙 법안들 모두 본회의 부의
손학규·심상정·정동영 3일 비공개 회동
패스트트랙 법안들 모두 본회의 부의
손학규·심상정·정동영 3일 비공개 회동
더불어민주당이 자유한국당에게 통보한 협상 데드라인(3일)이 지나면서 향후 '4+1' 공조를 본격 가동해 선거법·검찰개혁법 등 패스트트랙 법안을 처리할지 주목된다.
당초 여야가 지난 4월 선거법과 관련해 합의한 안은 '225(지역구):75(비례대표)'였다. 일단 패스트트랙으로 지정하고 한국당과 협상에 나선다는 구상이었지만, 패스트트랙 연대를 했던 '4+1' 내부에서도 이해관계가 엇갈려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그사이 정치권에서는 의원정수를 확대하자거나, 지역구를 240석·250석·260석으로 조정하자거나, 연동률을 40%·50%·100%까지 늘리자는 내용의 안들이 우후죽순 거론됐다.
하지만 이제는 선거법·검찰개혁법 등 패스트트랙 법안들이 모두 본회의에 부의돼 표결이 가능해진 상태가 됐고 내년 총선 일정도 다가오는 만큼 합의안을 도출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민주당도 한국당이 끝까지 반대할 경우 오는 9일 본회의에서 예산안을 먼저 처리한 뒤 패스트트랙 법안 중 선거법 개정안을 우선 상정해 밀어붙이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패스트트랙 법안 표결 시한이 다가오면서 일각에선 총선 룰을 정하는 선거법이 흥정 대상으로 전락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패스트트랙은 예산안과 민생법안까지도 패키지로 엮여 있어 여야 간의 주고 받기가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3일 민주당에서 지역구 250석·비례대표 50석에 연동률 40%를 적용한 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자, 연동형 비례제의 혜택을 가장 많이 입는 정의당이 "50% 이하로는 안 된다"고 불가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같은날 손학규 바른미래당·심상정 정의당·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비공개 회동을 갖고 선거법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심 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야3당은 기존의 합의 정신대로 예산안과 개혁법안, 민생법안을 공조해 처리하자는 입장을 냈기 때문에 민주당이 한국당과의 관계를 정리하고 '4+1' 테이블로 간다면 잘 얘기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정치협상회의도 있고 필요하다면 당대표 회동도 제안해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