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4차 대유행'까지 뭐 했나…기모란 靑 방역기획관 역할 의문


입력 2021.07.10 00:10 수정 2021.07.10 03:13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방역 컨트롤타워' 역할 강화한다며 각종 논란에도 발탁

논란 확산하자 문대통령도 나서 "전혀 문제 없어" 옹호

델타 바이러스 과소평가…대책 수립 미흡했단 지적 나와

기모란 청와대 방역기획관이 5월 3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코로나 백신·치료제 특별위원회 제2차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발탁 당시에도 논란이 일었던 기모란 청와대 방역기획관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청와대가 방역 정책 및 방역 조치를 전담하기 위해 방역기획관을 신설하며 기 기획관을 발탁했지만,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본격화되자 그의 역할에 의문이 제기된다.


기 기획관은 지난 4월 임명돼 9일로써 석 달째 업무를 수행 중이다. 그간 사회정책비서관이 방역과 백신 접종 업무를 모두 담당해 왔는데, 방역 대응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업무 분장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방역기획관을 신설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즉 '방역 컨트롤타워'로서의 청와대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방역기획관을 신설했다는 것이다.


기 기획관 발탁 배경에는 그가 예방의학 전문가인 점,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과 드라이브 스루 방식 등 방역 대책 마련에 기여했다는 점이 작용했다. 청와대는 이를 언급하며 "방역기획관실의 첫 비서관으로서 그 역할을 성공적으로 완수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당시 야권에서는 우려를 드러낸 바 있다. 기 기획관이 중국인 입국 금지를 반대하고 백신 도입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하는 등 정치 방역 여론을 주도했다는 것이다. 특히 기 기획관의 남편이 지난해 총선에서 경남 양산갑에 여당 후보로 출마한 바 있어 '보은 인사'라는 지적도 나왔다.


윤희석 국민의힘 대변인은 당시 논평에서 "백신 확보할 길마저 꽉 막힌 우리 정부가 급하게 내놓은 대책이라는 것이 방역기획관 신설"이라며 "'백신 안 급하다'며 전 국민을 기만하고 방역 실패를 합리화했던 장본인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 그동안 방역기획관이 없어서 이 지경이 된 건 아닐 텐데 멀쩡한 질병관리청을 두고 굳이 청와대에 또 자리를 만든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기 기획관의 임명을 철회하라는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게재됐다. 청원인은 당시 청원글에서 "기 기획관이 코로나에 대한 방역 대책과 국민의 이해 증진에 기여하기도 했다"면서도 "한편으로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백신 수급 등에 대한 일방적인 두둔과 옹호 발언을 했는데 그 배경이나 근거가 다분히 정치적 성향, 이념에 따른 심리적 판단이 작용했음을 의심치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임명 논란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자 문 대통령까지 나서 기 기획관을 적극 옹호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4월 21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오세훈 서울시장, 박형준 부산시장과 오찬을 하고 기 기획관 임명 논란에 대해 "전혀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도 이 자리에서 "아직도 청와대에 오면 마치 벼슬하는 것처럼 대단한 권력 가진 것처럼 외부에서 보는 것 같다"며 "기 기획관은 우리가 설득해서 모셔온 분인데 그렇게 비쳐져서 안타깝다"고 했다.


현재 코로나 일일 확진자가 1000명 대를 넘어서면서, 기 기획관이 델타 바이러스의 위험성을 과소 평가해 제대로 된 대책을 수립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 기획관이 방역 현장의 목소리를 청와대에 전달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인규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은 이날 낸 논평에서 "지난 4월 임명을 강행했던 기 기획관이 4차 대유행이 현실화된 지금까지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묻고 싶다"며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전문가들의 우려 속에서도 경제와 방역 사이에서 우왕좌왕한 혼선 과정에 기 기획관의 판단이 개입된 것은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신 부대변인은 그러면서 "애당초 전문성 부족은 물론, 정치적 편향성을 가진 인사가 청와대에서 방역을 총괄하고 있으니 방역대책이 신뢰와 일관성을 가질리 만무하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소속 조은희 서초구청장도 지난 7일 "4차 대유행을 몰고 온 상황 악화의 주범은 20~30대 청년, 자영업자가 아니라 문재인 정부"라며 "우리나라 국민처럼 협조 잘하고 성숙한 국민이 어디 있나.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기 기획관은 그 자리에 왜 있나"라고 질타했다.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