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가 되살아나고 있다. 지난해 말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데 힘입어 중국의 1~2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모두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의 효과가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올해 1~2월 소매판매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3.5% 증가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전년보다 1.8% 감소했다. 지난해 10월부터 하락하던 소매판매 추이가 반등세로 선회한 것이다. 중국은 춘제(중국 설) 연휴를 감안해 1~2월을 묶어서 집계한다.
소매판매는 백화점, 편의점 등 다양한 유형의 소매점 판매변화를 나타낸다. 내수 경기의 척도로 불린다. 중국의 소비 지출은 국내총생산(GDP)의 6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중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중국 정부가 올해 경기회복을 위해 소비를 최우선 과제로 삼는 이유다.
중국의 소매판매는 코로나 정책에 따라 요동쳤다. 지난해 4월 상하이 봉쇄 여파로 전년보다 11% 감소하며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지난해 8월과 9월 각각 5.4%, 2.5%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지만,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재확산되면서 10월 들어 봉쇄를 다시 시작하는 바람에 11월(-5.9%)에 큰 폭으로 감소했다.
1~2월 의약품 소매판매는 전년보다 19.3% 증가하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지난달 확산한 유행성 독감과 코로나19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루이스 루 옥스포드이코노믹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올해 초부터 소비자가 중국 경제의 반등을 이끌기 시작했다"며 "다만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으로 의약품 구매가 늘어난 효과를 감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1~2월 산업생산도 2.4% 증가했다. 지난해 12월(1.3%)보다 증가했지만, 로이터 전망치인 2.6%를 소폭 밑돌았다. 지난해 9월 전년 같은 기간보다 6.3% 증가한 데 이어 내리 감소하다 처음 반등했다.
산업생산은 공장과 광산, 공공시설의 총생산량을 측정한 것으로 제조업 동향을 반영하며 고용과 평균 소득 등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수출, 소비와 함께 중국의 3대 경제 성장축으로 꼽히는 고정자산투자도 1~2월 전년 같은 기간보다 5.5% 늘었다. 전망치(4.4%)를 웃도는 수치다. 중국 본토 기업의 투자는 6% 늘었지만 홍콩 및 마카오의 투자는 5.1% 감소했다. 외국인 투자도 1.2% 줄었다.
농촌을 제외한 공장·도로·부동산 등 자본투자의 변화를 나타내는 고정자산투자(1~2월) 중에서 부동산개발 투자의 경우 전년보다 5.7%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12.2% 감소한 수치에 비해선 대폭 개선됐다.
전기기계·장비부문도 전년보다 13.9% 증가하며 경기회복 기대감이 커졌다. 1일 발표된 중국 2월 구매관리자지수(PMI)도 52.6포인트를 기록하며 2012년 4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리오프닝의 효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도시 실업률은 5.6%로 전달보다 0.1%포인트(p) 상승했다. 16~24세 청년 실업률은 18.1%로 직전 수치(16.7%)보다 1.4%p 높아졌다.
그러나 일각에선 중국 정부가 주도한 경기부양 정책의 단기 효과라는 지적도 나온다. 루 이코노미스트는 "1~2월 중국의 민간 투자는 전년보다 0.8% 늘어난 데 비해 정부 주도 투자는 10.5% 증가했다"며 "경기 호조세는 분명하지만 신중하게 지표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