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6월 전체 등록 취소 중 외식 비중 79%
소비 부진 속 식자재비·인건비 증가에 수익↓
올 상반기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약 1000곳이 가맹사업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데다 식재료·인건비 증가, 규제 등이 맞물리면서 수익성이 악화되자 가맹사업을 접는 브랜드가 많아진 것이다.
4일 데일리안이 올해 상반기(1~6월)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제공시스템에 올라온 정보공개서를 전수조사한 결과,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정보공개서 등록 취소 사례는 총 989개로 집계됐다.
전년(1029개)보다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많은 수준이다. 이 기간 전체 등록 취소 건 중 외식업 비중은 79.4%에 달한다.
정보공개서에는 가맹점 매출액과 지점 수를 포함해 가맹사업 전반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가맹본부가 가맹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등록해야 된다. 때문에 정보공개서 등록 취소는 가맹사업 중단을 의미한다.
정보공개서 등록 취소가 늘어난 것은 고물가·경기침체 장기화로 소비 시장이 위축된 데다 프랜차이즈 간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식자재비와 인건비, 임대료 등 주요 비용이 꾸준히 오르고 있는 가운데 고물가로 인해 소비자들이 외식을 꺼리면서 외식업계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5월 외식 부문 소비자물가지수는 124.56으로 2020년 대비 약 25% 뛰었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가 16% 증가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외식 물가 상승 속도는 1.5배에 이르는 셈이다.
배달 플랫폼 수수료도 부담이다.
서울시가 최근 발표한 ‘2024 프랜차이즈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배달플랫폼 매출 중 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율은 24.0%로 조사됐다. 2023년 10월 17.1% 대비 약 7%포인트 올랐다.
플랫폼 수수료는 배달수수료, 중개수수료, 광고수수료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 배달수수료 비중이 39.2%에 달했다. 중개수수료와 광고수수료는 각각 30.8%, 19.7%로 조사됐다.
여기에 가맹본부에 대한 규제도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대표적으로 지난 4월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된 ‘가맹사업법 개정안’이 있다.
가맹사업법 개정안의 핵심 내용은 가맹점주단체 등록제를 도입하고, 가맹본부에 가맹점주단체와 협상을 해야 할 의무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이 발의한 ‘백종원 방지법’ 역시 부담이 크다.
백종원 방지법은 가맹점 100개 이상인 본부가 새로운 가맹사업을 시작하려면 최소 3개 이상의 직영점을 운용하도록 요건을 강화하고, 기존 가맹점주에게도 매년 예상 매출액 산정서를 서면으로 제공하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특히 예상 매출액 산정서를 놓고 본사와 점주들 간의 갈등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또 브랜드마다 사업의 성격 및 운영 방식 등이 다른데 하나의 고정된 잣대로만 들이댄다면 오히려 기업의 성장과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원자재 가격 상승, 소비 부진, 배달앱 수수료, 최저임금 등이 맞물리면서 자영업자들이 수익을 내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외식업은 창업 진입 장벽은 낮지만 성공률은 하늘의 별따기 수준인 만큼 창업에 있어 옥석 가리기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