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분석기술·디지털 물관리 사례 공유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10일 대전 본사에서 ‘2025 기상기후 데이터 활용 & 분석기술 심화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를 통해 기상 및 기후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AI) 분석기술과 디지털 물관리 사례를 공유했다.
세미나는 한국수자원공사 ‘환경 빅데이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데이터 개방과 활용 확대를 위한 목적이다. 지난해부터 시작한 ‘데이터 부가가치 창출 시리즈’의 세 번째 행사로 한국기상산업기술원과 함께 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세미나에서 환경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개방하고 있는 기상기후 데이터의 대국민 확산, 디지털트윈과 연계된 가상 홍수 시나리오 분석 모형 및 영상레이더를 활용한 수재해 모니터링 기술 등 최첨단 디지털 물관리 기술 활용 사례를 공유했다.
AI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도구 등 다양한 운영 사례도 선보였다.
이 밖에도 김형준 카이스트 교수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현황 및 과제’ 주제 발표와 국립기상과학원이 독자 개발한 관측데이터 기반 초단기 AI 예보 모델 ‘알파웨더’ 등의 연구 성과 등을 공유했다.
기상산업기술원은 기상기후 산업 육성프로그램을 비롯해 민간 분야의 기상 및 공간정보 융합 지도서비스,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서비스 등 기상기후 데이터와 AI가 융합된 다양한 디지털 사업 모델을 소개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과 기상기후 데이터의 수요 발굴을 확대하고 기후 위기 대응 및 첨단 물관리를 위한 기술 교류를 한 단계 발전시킬 계획이다. 또, 민간서비스와도 연계해 물산업 혁신 생태계 기반을 넓혀 나갈 예정이다.
류형주 한국수자원공사 부사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상기후 데이터 활용과 AI 기술 접목 성과를 확인함과 동시에 민관 협력의 결실을 가늠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환경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해 기후 위기 시대 해법 마련과 함께 다양한 AI 활용 기술을 실용화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