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에게 물었다] 장마철에 빨래 널었더니 꿉꿉한 냄새 나네보송하게 말리는 방법은?

석지연 기자 (hd6244@dailian.co.kr)

입력 2025.07.15 10:40  수정 2025.07.15 16:55

왜 빨래에서 냄새가 나는 걸까?

섬유유연제·세제 과다 사용하면?

장마철 꿉꿉한 빨래 냄새 해결 법

ⓒ 데일리안 AI 이미지 삽화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햇볕 쨍쨍하게 더웠는데, 갑자기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이번 한 주 동안은 비가 계속 내린다고 예보됐다. ‘지각 장마’가 찾아온 것이다.


비가 오면, 제일 먼저 걱정되는 게 빨래다.


빨래는 꼭 햇빛이 잘 드는 그늘이나 바람 좋은 곳에서 말려야 상쾌한 느낌이 나는데…,


비가 내리고 우중충한 날씨에서는 빨래를 말리기가 참 쉽지 않다.


특히 아무리 빨래를 해도 꿉꿉한 냄새가 가시지 않아 고민이다.


도대체 왜 빨래에서 냄새가 나는 걸까?


빨래도 제대로 말리고, 꿉꿉한 냄새 없이 상쾌하게 유지할 방법은 없을까?


연일 비 오는 날에도, 장마철에도 깔끔하고 쾌적한 빨래를 위한 노하우가 궁금하다.


AI에게 물었다.


“꿉꿉한 냄새는 도대체 왜 나는 거야?”


장마철에 빨래하면 꿉꿉한 냄새가 나는 이유는 주로 습도와 통풍 부족 때문입니다. 장마철에는 실내외 습도 80% 이상 올라가며, 빨래가 오래 축축하게 남을 경우 세균·곰팡이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높은 습도: 장마철에는 공기 중에 수분이 많아서 빨래가 쉽게 마르지 않고, 젖은 상태가 오래 유지된다. 이 환경은 세균이나 곰팡이가 잘 자라기 좋은 조건이다.


통풍 부족: 빨래가 잘 마르려면 공기가 잘 통해야 하는데, 비가 오면 창문을 닫거나 실내 공기가 답답해져서 빨래가 건조되기 어렵다.


세균과 곰팡이 번식: 젖은 빨래에 있는 미세한 때나 땀, 피부 각질 등이 세균과 곰팡이의 먹이가 되면서 냄새를 만들게 된다.



꿉꿉한 빨래 냄새, 해결할 수 없나?


장마철 빨래의 꿉꿉한 냄새, 충분히 해결할 수 있어요. 다만 약간의 해결 습관이 필요합니다.

🌧️✨ 장마철 꿉한 빨래 냄새 해결법 3가지


🌀🌬️ 충분한 탈수와 환기


빨래를 한 후 추가로 탈수를 꼭 해 물기를 최대한 빼줘야 한다.


또한 창문을 열거나 선풍기를 틀어 공기를 잘 순환시켜 습기를 날려버리는 게 중요하다.


🧂🍶 베이킹소다·식초 활용하기


세탁 시 베이킹소다나 백식초를 함께 넣으면 세균을 억제하고 냄새를 중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천연 재료라 옷감 손상 걱정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 세탁기 청소와 적절한 건조 공간 확보


세탁기 내부의 곰팡이나 찌꺼기를 정기적으로 청소해 청결을 유지한다.


또한 빨래는 겹치지 않게 널고, 바람 잘 통하면서 가능하면 햇빛이 드는 곳에서 말리는 게 가장 좋다.



“혹시 섬유유연제 혹은 세제를 많이 넣으면 사라지지 않을까?”


좋은 질문이에요! 많은 분들이 그렇게 생각하시는데, 장마철에 섬유유연제나 세제를 많이 넣는 건 오히려 냄새를 더 심하게 만들 수 있어요. 😣

🧴 빨래에 섬유유연제·세제를 과다 사용하면?


1. 세제 찌꺼기와 냄새 악화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는 세제가 제대로 헹궈지지 않고 빨래에 남기 쉽다.


세제 찌꺼기가 곰팡이나 세균 번식의 온상이 되어 꿉꿉한 냄새를 더 심하게 만들 수 있다.


2. 섬유유연제 과다 사용 시 습기 머금기


섬유유연제가 과도하면 옷감에 코팅이 남아 통풍을 막고, 빨래가 더 쉽게 축축해져 냄새가 더 심해질 수 있다.


3. 세탁기 내부 문제 가중


장마철처럼 빨래가 자주 젖고 자주 세탁기를 돌릴 때, 세제 과다 사용은 세탁기 내부에 찌꺼기와 곰팡이를 늘려 악취와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건조기가 없는 1인 가구는 어떡해?”


장마철 빨래, 건조기 없이도 보송하게 말릴 수 있어요! 핵심은 ‘습기 제거 + 공기 순환’입니다 ☁️👕✨

✅ 장마철 빨래 이렇게 말리세요.


🌬️ 1. 환기 잘 되는 공간 확보하기


빨래 앞에 선풍기를 틀어 공기를 순환 시켜 습기를 날려주면 된다.


빨래를 널 때는 환기가 잘 되는 거실이나 창가 쪽으로 햇살이 조금이라도 들어오는 공간이 효과적.


→ 화장실이나 습기 많은 방은 ❌


🧺 2. 빨래 사이 간격 충분히 두기


빨래를 겹치거나 빽빽하게 널면 습기가 쉽게 빠지지 않으니, 옷 사이 간격을 넉넉히 둬 바람이 잘 통하게 하는 게 중요하다.


🏠 3. 실내 건조대 위치 조절하기


습기가 많은 화장실보다는 거실이나 창가 쪽, 햇빛이 조금이라도 들어오는 곳에 두는 게 좋다.


낮 동안은 햇빛이 들어오는 곳으로 옮기고, 밤에는 선풍기나 환기로 습기를 줄이면 된다.


🗞️ 4. 건조제나 신문지 활용도 굿


바닥에 신문지를 깔거나 제습제를 놓으면 주변 습기 잡는 데에 효과적이다.


🔁 보너스 꿀팁


빨래를 2~3시간마다 한 번씩 ‘뒤집어’ 줘야 한다.


→ 한쪽 면만 축축한 걸 방지하고 냄새도 덜 난다.


가능하면 낮에 세탁


→ 햇빛 없는 밤보다 낮이 마르기 훨씬 유리하다.



결론


비가 연일 오는 때에는 빨래가 잘 마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유의 냄새까지 나기 쉽다. 바로 높은 습도와 통풍 부족이 주된 원인이기 때문.


빨래에서 나는 냄새를 없애려면 단순히 빨래를 돌리고 말리는 것 만으로는 부족하다.


세제를 잔뜩 넣는 것보다는 건조 환경이 핵심이다.


가능한 빨래를 완전히 건조 시키거나 제습기 혹은 선풍기를 이용해 통풍을 시켜주면 냄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건조기 사용이나 햇볕 좋은 날 다시 한 번 말리는 것도 도움이 된다.


다만, 건조기가 없어도 물기를 최대한 잘 빼고 바람이 잘 통하게 선풍기를 틀거나 간격을 띄어서 말리면 충분히 꿉꿉한 냄새를 없앨 수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석지연 기자 (hd6244@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