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카드론 대환대출, 지난해 대비 감소
연체율 급등에 대환대출 축소…건전성 강화 집중
“신용대출에 카드론 포함, 취약 차주 급전창구 차단 우려도”
카드사가 연체자에게 다시 자금을 공급하는 ‘대환대출’ 구조에 대한 부담을 줄이며 리스크 관리에 나서고 있다.
대환대출은 단기적으로 연체를 피하는 수단이 될 수 있으나, 신용등급 하락과 고금리 적용 등으로 소비자 부담이 가중되고, 카드사 입장에서도 건전성을 위협하는 구조적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6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8개 신용카드사(신한·현대·삼성·KB국민·롯데·우리·하나·BC카드)의 카드론 자체 대환대출 잔액은 1조436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조8730억원) 대비 23.3% 감소했다.
카드사별로는 현대카드가 39.9%로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였으며, 이어 KB국민카드(38.4%), 신한카드(31.1%) 등도 대환대출 잔액을 대폭 줄였다.
대환대출은 기존 카드론 연체자에게 상환 자금을 다시 빌려주거나 만기를 조정해주는 방식이다.
이에 카드사 입장에서는 연체 위험이 높은 계층에 다시 자금을 공급하는 구조인 만큼 건전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카드업계의 이러한 변화는 최근 급등한 연체율에 따른 대응으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8개 카드사의 평균 연체율은 1.93%로 지난해 1분기(1.83%)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2022년 1분기 1%에서 2023년 1.46%, 2024년 1.83%로 오르며 연체율은 해마다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주요 카드사들 가운데 이미 연체율이 2%를 넘어선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연체율 2%를 ‘위험 경계선’으로 인식한다.
여기에 이달부터 시행된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는 카드업계의 수익성에 추가 압박을 가하고 있다.
기존에는 카드론과 현금서비스가 기타 대출로 분류돼 규제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이번 규제로 카드론 역시 신용대출로 분류되면서 한도 및 심사 기준이 한층 까다로워졌다.
이달 초 금융위원회는 카드사의 카드론이 신용대출에 포함된다는 유권해석을 여신금융협회와 카드사들에 전달한 바 있다.
취약 차주가 대환대출을 위해 카드론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급전창구가 모두 차단된 셈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대환대출은 단기 연체율 개선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수익성과 건전성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전략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그동안 카드론은 긴급한 자금이 필요한 소상공인이나 취약 계층의 유일한 통로였는데, 이번 조치로 그마저도 막힐 수 있다”고 우려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