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자에 또 대출, 그만”…대환대출 제동 거는 카드사들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입력 2025.07.16 15:39  수정 2025.07.16 15:51

올 1분기 카드론 대환대출, 지난해 대비 감소

연체율 급등에 대환대출 축소…건전성 강화 집중

“신용대출에 카드론 포함, 취약 차주 급전창구 차단 우려도”

지난 5월 말 기준 8개 신용카드사(신한·현대·삼성·KB국민·롯데·우리·하나·BC카드)의 카드론 자체 대환대출 잔액이 1조436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조8730억원) 대비 23.3% 감소했다.ⓒ연합뉴스

카드사가 연체자에게 다시 자금을 공급하는 ‘대환대출’ 구조에 대한 부담을 줄이며 리스크 관리에 나서고 있다.


대환대출은 단기적으로 연체를 피하는 수단이 될 수 있으나, 신용등급 하락과 고금리 적용 등으로 소비자 부담이 가중되고, 카드사 입장에서도 건전성을 위협하는 구조적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6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8개 신용카드사(신한·현대·삼성·KB국민·롯데·우리·하나·BC카드)의 카드론 자체 대환대출 잔액은 1조436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조8730억원) 대비 23.3% 감소했다.


카드사별로는 현대카드가 39.9%로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였으며, 이어 KB국민카드(38.4%), 신한카드(31.1%) 등도 대환대출 잔액을 대폭 줄였다.


대환대출은 기존 카드론 연체자에게 상환 자금을 다시 빌려주거나 만기를 조정해주는 방식이다.


이에 카드사 입장에서는 연체 위험이 높은 계층에 다시 자금을 공급하는 구조인 만큼 건전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 관련기사 보기
‘신한카드 SOL트래블 체크’ 오사카 라운지 100엔 수하물 보관 등 여름 이벤트
현대카드, 미국 MoMA 무료입장 등 '해외모드' 서비스 오픈


카드업계의 이러한 변화는 최근 급등한 연체율에 따른 대응으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8개 카드사의 평균 연체율은 1.93%로 지난해 1분기(1.83%)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2022년 1분기 1%에서 2023년 1.46%, 2024년 1.83%로 오르며 연체율은 해마다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주요 카드사들 가운데 이미 연체율이 2%를 넘어선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연체율 2%를 ‘위험 경계선’으로 인식한다.


여기에 이달부터 시행된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는 카드업계의 수익성에 추가 압박을 가하고 있다.


기존에는 카드론과 현금서비스가 기타 대출로 분류돼 규제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이번 규제로 카드론 역시 신용대출로 분류되면서 한도 및 심사 기준이 한층 까다로워졌다.


이달 초 금융위원회는 카드사의 카드론이 신용대출에 포함된다는 유권해석을 여신금융협회와 카드사들에 전달한 바 있다.


취약 차주가 대환대출을 위해 카드론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급전창구가 모두 차단된 셈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대환대출은 단기 연체율 개선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수익성과 건전성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전략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그동안 카드론은 긴급한 자금이 필요한 소상공인이나 취약 계층의 유일한 통로였는데, 이번 조치로 그마저도 막힐 수 있다”고 우려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