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 이상 아파트 거래 반토막에도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3.6% 상승
6·27 부동산 대책 이후 수도권 고가 아파트 시장이 거래량은 급감했지만, 소수의 거래된 단지들의 가격은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6·27 대책 전후 수도권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심층 분석한 결과, 10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의 거래 비중은 절반 가까이 급감했지만, 거래가 성사된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오히려 가장 많이 상승하는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졌다.
대책 발표 이전 수도권 전체 아파트 거래의 23.9%를 차지했던 10억 초과 아파트의 비중은 대책 이후 12.1%로 감소했다. 반면, 5억 이하 아파트의 거래 비중은 40.1%에서 50.4%로 늘었다. 시장이 전반적으로 대출 규제 영향이 덜한 중저가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실제 거래된 고가 아파트의 가격은 오히려 상승하는 역설적 현상이 나타났다.
6·27 대책 전후로 동일 단지·동일 평형의 실거래가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 10억 초과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2.8% 상승했다. 이는 5억 이하(0.9%) 및 5억~10억(0.9%) 아파트 가격 상승률보다 높은 수준이다.
특히 서울의 10억 초과 아파트는 매매가가 3.6% 올라 전체 상승을 견인했다. 경기도는 0.5% 오르는데 그쳤고 인천은 6.1% 떨어져 수도권 내에서도 지역별 편차가 극명하게 나타났다.
서울의 고가 아파트 상승세는 노후 아파트가 견인했다. 10억원 초과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률을 건물 연령대별로 보면 30년을 초과한 노후 단지가 6·27 대책 시행 이후 7.3% 급등해 신축(3.8%) 상승률의 약 2배 수준을 기록했다.
집토스 관계자는 “이번 대책은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다”며 “자금력이 있는 수요는 갈 곳을 잃고 재건축과 같은 확실한 투자처로만 몰리는 '쏠림 현상'이 극대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