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원하는 대책 묻는 수요자 중심 현장토론 진행
금융위원회가 '충청권 타운홀' 미팅 후 열흘 만에 소상공인의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 현장을 찾았다.
금융위는 17일 오후 서울 소상공인연합회 디지털교육센터에서 '소상공인 금융 어려움, 현장에서 듣고 정책으로 답하다'를 주제로 현장토론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성실상환자 등 소상공인 금융지원 정책방향을 소개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소상공인연합회와 금융위원회가 함께 마련했다.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장을 비롯해 각 업종별, 지역별 소상공인 15명이 참석했다. 정부 관계자는 중소벤처기업부·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 정책금융기관 등 유관기관, 소상공인 관련 전문가 4명이 참석했다.
또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을 비롯한 은행, 카드, 캐피탈, 페이사 등 금융권에서도 참석해 소상공인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금융위는 지난 8일 첫 번째 현장 간담회를 열고 충청권 타운홀 미팅에서 제기된 문제를 해결했다. 법원의 회생결정에 따라 1년간 성실하게 상환한 채무자의 불이익 정보를 즉시 삭제하는 조치를 추진하기로 했으며, 다양한 추가과제를 발굴해 관계기관과 검토하고 있다.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2차 추경 프로그램의 속도감 있는 추진을 위해 장기 연체채권 채무조정 프로그램(7월11일), 새출발기금 제도개선(7월14일) 관련 전문가·유관기관·현장 상담사 간담회를 통해 의견을 청취하고,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금융위는 현장간담회를 계기로 금융위 공무원의 일하는 방식도 획기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정책·민간금융을 활용하면서 기존 제도개선을 병행하고, 책상에서 공급자 중심으로 일하기보다,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수요자 중심의 정책을 만들겠다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정책을 만들고도 현장에서 모르거나, 체감도가 낮은 상황을 고려해 앞으로는 전달·홍보체계도 개선하고, 정책 보도자료를 배포한 이후에도 필요한 시점에 피드백을 통해 제도를 지속 보완하겠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