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국내 및 해외여행 선호도 조사' 결과
"국내 여행 활성화엔 가격 안정이 관건"
휴가철을 맞아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국민 절반가량이 국내여행에 대해 불만족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로 '높은 관광지 물가'를 지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해외여행 선호도 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은 국내여행(39.0%)과 해외여행(38.4%)을 비슷하게 선호하고 있었지만, 연령대별로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0대 이하 응답자는 해외여행을 선호하는 비율이 48.3%로 국내여행(28.6%)보다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반대로 50대는 국내여행 선호 비중이 42.7%로 해외여행(34.9%)보다 높았다.
국내여행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시간과 비용 부담이 적어서'(32.8%), '준비나 이동이 간편해서'(30.1%) 등이 꼽혔으며, 해외여행은 '새롭고 이색적인 경험을 할 수 있어서'(39.1%), '볼거리·관광명소가 다양해서'(28.1%) 등이 주요 이유였다.
국내여행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8.3점으로 해외여행(8.7점)보다 다소 낮았다. 불만족 요인으로는 '관광지 물가가 높다'(45.1%)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특색 있는 관광 콘텐츠 부족'(19.4%)이 뒤를 이었다.
실제로 관광요소별 경쟁력 비교에서도 국내여행은 교통 접근성, 편의시설, 음식 등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해외여행보다 낮은 평가를 받았다. 자연경관, 쇼핑, 관광시설 등에서는 해외가 우수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국내여행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관광지 바가지 요금 방지를 위한 제도적 관리'(35.6%)가 가장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지역별 관광 콘텐츠 개발 및 홍보'(18.6%)와 '관광지 대중교통 및 이동 인프라 확충'(16.2%) 등이 뒤를 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내여행 활성화는 지역경제 회복과 내수 진작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가격 안정과 차별화된 콘텐츠 개발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한경협도 'K-바캉스' 캠페인을 비롯한 국내여행 촉진 활동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