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타 리가 '트론' 시리즈 최초 한국인으로 주연을 맡아 한국을 찾았다.
15일 오전 서울 용산아이파크몰 CGV에서는 영화 '트론: 아레스' 풋티지 시사 및 그레타 리 내한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트론: 아레스'는 가상 세계에서 현실 세계로 넘어온 고도 지능 AI 병기 아레스의 등장으로 시작되는 통제 불가의 위기를 그린 압도적 비주얼 액션 블록버스터물이다. 그레타 리는 극 중 뛰어난 실력을 가진 프로그래머이자 엔컴의 대표인 이브 킴 역을 맡았다.
그레타 리는 "이 자리에 와 있다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는다. (이 자리는) 큰 의미를 갖고 있다. 사실 제가 아무리 다양한 상상을 해봐도 할리우드 영화로 한국에 올 수 있을 것란 상상은 해본 적이 없다. 할리우드뿐만 아니라, 최초로 한국인 주인공인 영화로 와서 기쁘다"라며 "한국에서 '트론: 아레스' 프레스 투어를 시작하는 것이 어떠냐고 할 때 당연하다고 생각했다"라고 내한한 소감을 밝혔다.
전작 '패스트 라이브즈'와 완벽히 다른 장르와 캐릭터를 연기하게 된 그레타 리는 "두 영화를 비교해 본다면, 영화 자체로도, 캐릭터로도 너무 다르다. 다양한 범위의 인물을 연기한다는 건 행운"이라며 "영화 규모 자체도 너무 다르다. '트론: 아레스'는 프랜차이즈 물에서도 대규모 영화다. 전 이런 사실을 당연하게 여기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 작품은 몸을 굉장히 많이 써야 했다. 스턴트 연기가 많아 어려움도 있었다. '패스트 라이브즈'로 자연스러운 감정연기를 요하는 연기를 한 다음에 몸을 써야 하는 영화를 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트론' 시리즈 최초 한국인으로 주연을 맡은 것과 관련 "연기를 오래 해오면서 이 과정 중에 할리우드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이런 영화에 한국이 최초로 주연을 맡은 건 이제 막 시작일 뿐이라고 생각해 희망이 느껴지고 설렌다. 개인뿐만 아니라, 수많은 창작자들에게 기회가 열릴 수 있는 시발점이 됐다. 당연하지 않은 기회임을 새길 것이다"라며 "부담도 되지만 제가 기꺼이 받아들이려 한다"라고 말했다.
그레타 리는 '패스트 라이브즈' 이후, '트론: 아레스'까지 최근 블록버스터까지 독립영화를 넘나들며 러브콜을 받았다. 그레타 리는 자신의 강점에 대해 "요즘 왜 업계에서 날 찾는가란 평가를 스스로 하기는 힘들지만, 이야기해보자면 제가 하는 영화와 무관하게 늘 인간성, 사람 자체에 집중하려고 한다. 전 한국인, 한국계 미국인, 여성이기도 하지만 이 모든 걸 넘어서 인간이라는 것에 집중한다. 한 인간으로서 캐릭터를 관객들과 공감할 수 있을까를 늘 고민한다. 그 지점이 배우 목적이자 영화가 존재하는 이유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할리우드에서 한국계 미국인들의 활약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사실 한국인들은 우리가 세계 최초라는 걸 알고 있었다. 전 세계가 이제야 정신 차린 것 같다. 지금 한국의 모든 문화가 전 세계에서 큰 사랑을 받는 걸 볼 때 기쁘다. 또 내가 생각한 것을 확신 받는 기분이다. 앞서 언급했 듯 이건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라면서 설렘을 드러냈다.
그레타 리는 '트론: 아레스'의 관전 포인트를 묻는 질문에 "하루빨리 관객들이 이 작품을 보면서 '트론' 이전 시리즈와 비교해 기술의 발전을 어떻게 이뤄왔는지 보셨으면 한다. 이건 요아킴 뢰닝 감독과 촬영 감독에게 중요한 지점이었다. '트론' 이전 레거시를 유지하면서 그보다 더 나아진 모습을 보여줘야 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에 안 사실인데 '트론' 시리즈가 1980년대 처음 나왔을 때, 스페셜 이펙트 부문에서 탈락했다고 한다. 이를 봐도 '트론: 아레스'가 얼마나 시대를 앞서갔는지, 영화의 의미도 알 수 있다"라며 "다루고 있는 주제들도 조금 더 시의성 있고 시급한 이야기다. AI라는 주제는 현대적인 문제로, 오늘날 매일 마주하고 있다. 수많은 일상과 긴밀하게 직결된 이야기를 할 수 있어 행운인 것 같다. 이 문제들은 우리 삶에 긍정적인 변화도 주지만, 나쁜 방향으로 흘러갈 수도 있다. 영호를 보면 이 주제가 어떻게 다뤄지는지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말레피센트2', '캐리비안의 해적' 등을 연출한 요아킴 뢰닝 감독이 연출했다. 그레타 리는 "이 정도 규모의 이 특성의 영화를 제대로 해내려면 구체적인 요건들이 필요하다. 뢰닝 감독님은 그 지점을 갖췄다. 영화의 완성도 면에서 감히 최고 수준이라고 말하고 싶다. 감독님은 여러 가지 조각들을 매니징 하면서도 영화가 가진 심장을 뛰게 만들었다. 어려운 과제지만 해낼 능력을 갖춘 분이다"라며 요아킴 뢰닝 감독에 대한신뢰를 표했다.
이와 함께 "자레드 레토, 질리언 앤더슨, 제프 브리지스 등과 함께 할 수 있어 기뻤고, 에반 피터스도 뛰어난 악역을 해줘서 즐거웠다"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레타 리는 "한국에 와서 너무 기쁘다. 하루빨리 '트론: 아레스'를 선보이고 싶다"라고 말했다. 10월 8일 개봉.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