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0대 고객 개인형 연금 잔고 34.8% 증가
삼성증권은 17일 평가금 기준으로 개인형 연금 잔고가 22조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삼성증권의 총 개인형 연금 잔고는 2024년 말(17조1000억원대) 대비 30% 성장한 22조2000억원을 넘어섰다. 같은 기간 총 연금잔고도 23.8% 늘어난 26조 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개인형 연금 중 연금저축, 확정기여형(DC형), 개인형 퇴직연금(IRP)의 잔고는 각각 34.6%, 27.4%, 26.9% 증가했다. 특히 IRP 잔고는 8조원을 돌파했다. 퇴직연금 전체(DB+DC+IRP) 잔고는 19.6% 증가했다.
삼성증권 측은 "40~50대 투자자의 개인형 연금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2024년 말 기준 10조9000억원 수준이었던 잔고는 지난 11일 기준 14조7000억원대로 약 34.8% 증가했다"고 전했다.
특히 상장지수펀드(ETF)가 중장년층 사이에서 인기를 끌며 상품별 잔고 증가율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ETF 잔고는 같은 기간 54% 증가해 10조원 규모로 성장했다.
삼성증권 측은 "연금잔고의 고속 성장 배경으로는 가입자 중심의 연금 서비스들이 있다"며 "퇴직연금 최초로 지난 2021년 운용·자산관리 수수료가 무료(펀드 보수 등은 별도 발생)인 '다이렉트IRP'로 퇴직연금 수수료 체계의 판도를 바꿨다. 가입자 편의를 대폭 높여 가입 서류 작성과 발송이 필요없는 '3분 연금' 서비스(개인정보 제공 및 약관 등 확인시간 제외)를 선보이기도 했다"고 전했다.
삼성증권은 업계 최초로 별도 연금센터를 신설하기도 했다. 현재 서울과 수원, 대구에서 센터3곳을 운영 중이다. PB 경력 10년 이상의 숙련된 인력이 전문화된 연금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증권 연금센터는 연금 가입자 대상 상담은 물론, 퇴직연금 도입 법인에 대한 설명회 등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한 해에만 약 200여건이 넘는 세미나를 진행했다.
연금본부장 이성주 상무는 "퇴직연금은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삼성증권은 우수한 연금 관리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객의 든든한 연금파트너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증권은 연금저축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연금 고객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자 '연금저축 순입금 이벤트'를 오는 30일까지 진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삼성증권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앱 '엠팝(mPOP)'을 참고하면 된다.
투자자는 금융상품에 대해 금융상품판매업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다. 금융투자상품은 자산가격 및 환율 변동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