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율 관세에 철강업계 고사위기, 정부 4000억 보증 지원

정진주 기자 (correctpearl@dailian.co.kr)

입력 2025.09.19 19:08  수정 2025.09.19 19:09

김정관 산업부 장관, 포항 현장 방문해 기업 애로 청취

철강 수출 공급망 강화 보증상품 신설, 4000억 규모

산업부, 저탄소 철강 및 고부가 전환 지원책 논의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9일 경북 포항시 포스코 본사에서 열린 포항 철강 업계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이 50%의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서 어려움을 겪는 국내 철강 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철강 수출 공급망 강화 보증상품'을 신설한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9일 경북 포항시 포스코를 찾아 국내 주요 철강 기업 사장단과 간담회를 열고 "철강 기업, 금융권, 정책금융기관이 함께 약 4000억원의 지원 효과를 낼 수 있는 보증상품을 신설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3월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철강·알루미늄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6월부터는 이를 50%로 올렸다. 이로 인해 관세 장벽이 크게 높아지자 한국 철강업계는 7월 대미 수출이 지난해보다 25% 이상 줄어드는 등 큰 타격을 입고 있다.


김 장관은 이날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경북 포항으로 내려가 포스코 인공지능(AI) 고로와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 등 현장을 점검하고 철강 업계 애로를 청취했다. 간담회에는 포스코 이희근 사장과 현대제철 서강현 사장, 동국제강 최삼영 사장, 세아제강 홍만기 부사장, 넥스틸 최철균 상무, TCC스틸 김영학 사장, 한국철강협회 이경호 상근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김 장관은 이 자리에서 "대미 관세 협상에서 철강 관세 면제를 강하게 요구했지만, 관철이 어려웠던 점에 대한 업계의 이해를 구한다"며 "미국 측과 관세 완화 협의를 지속하고 관세 후속 지원대책 이행, 우회덤핑 등 불공정 수입재 방어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언급했다.


김 장관은 철강 업계 어려움을 언급하며 "국내외 공급과잉 문제에 대해서는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며 품목별 대응 방향을 검토해 나가고, 철강산업 위기로 촉발된 지역경제 어려움을 해소하며, 국회에서 발의된 철강산업 특별법에 대해서도 핵심 정책과제들이 입법화될 수 있도록 국회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현장 시찰에서 "철강산업의 AI 접목을 통한 효율성과 산업안전 강화를 지원하고, 저탄소 철강재 및 특수탄소강에 대한 인센티브 등 저탄소·고부가 전환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근로자 안전이 산업 경쟁력의 출발점"이라며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기업 관리 강화와 투자 확대해 달라"고 당부했다.


산업부는 지난 1월 출범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TF' 등을 통해 전문가 및 업계와 정책 과제를 논의하고 있으며 TF 논의 결과와 관계부처 협의를 종합해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정진주 기자 (correctpearl@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