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 청년주간 맞아 회원사 협력해 취업·경력 개발 지원
취업 시장의 '직무 경험' 중시 기조와 청년 구직자 간 간극 해소 목적
반도체·AI 등 미래 산업 분야 직업훈련 확대, 첨단 분야 인재 양성
대한상공회의소는 청년주간을 맞아 청년 취업과 경력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회원사 20만 곳과 협력해 5만3000명의 청년에게 더 좋은 일경험 기회를 제공하고, 반도체·인공지능(AI) 등 미래산업 분야 직업훈련을 확대한다고 21일 밝혔다.
고용률(63.3%)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청년층 취업자는 16개월째 감소하고, 청년 구직자들은 첫 직장을 구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우리 경제 전반의 일자리 창출 능력 저하뿐 아니라 신입 공채보다는 경력과 실무경험을 중시하는 최근 고용시장의 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그간 채용시장은 직무 경험을 중시하는 기조가 더욱 뚜렷해졌다. 지난해 고용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조사에서 기업 대다수는 ‘직무경험·경력 등 직무능력’(96.2%)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대한상의가 올 6월 실시한 조사에서는 청년 구직자의 53.2%가 ‘대학 재학 중 직무경험을 하지 못했다’고 답해 실전에 바로 투입할 인재를 선호하는 기업 수요와는 간극을 보이고 있다.
대한상의는 이에 올해 일경험 통합지원센터로 지난해 대비 1만 명 늘어난 4만 3000명의 일경험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서울·청주 등 14개 지역상공회의소가 운영기관으로 참여해 회원사 등 지역기업과 함께 2350명의 청년에게 일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SK·현대차·LG·포스코·두산·한화 등 대기업 역시 일경험 프로그램을 제공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AI), 로봇, 반도체, 등 미래성장 산업 분야를 핵심 교육훈련 분야로 선정하고 전국 7개 인력개발원, 36개 선도기업아카데미 참여기업과 함께 1만 명의 첨단 분야 청년 인재를 양성해 산업현장에 취업 연계에 나선다.
전국 7개 인력개발원에서는 1974명의 첨단산업 인재를 길러낸다는 목표를 세우고, 상반기에만 1021명을 교육했다. 하반기에도 953명을 추가 모집해 청년과 기업이 원하는 실무형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선도기업아카데미 참여기업은 반도체, AI, 빅데이터 등의 분야에서 7000명의 직업훈련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대한상의는 첨단분야 선도기업을 모집하고, 기업이 훈련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교육생 모집부터 취업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한편 서울시와 ‘청년취업사관학교’(SeSAC) AI 특화캠퍼스(220명)를 통해서도 디지털 혁신 인재를 집중 양성하고 있다. 상의는 아울러 전국 직업계고 3학년 재학생 1324명에게 직업훈련과 채용연계를 지원한다.
이상복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사업단장은 “청년은 대한민국 경제와 산업의 미래 핵심동력”이라며 “청년들이 미래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인턴, 프로젝트 등 다양한 일경험을 통해 경력 사다리를 지원하고, 첨단분야에서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