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관련된 '가짜 뉴스'에 대해 반박하며 소신 발언을 해 한국에서도 이름이 알려진 중국의 유명 인플루언서가 갑자기 사라졌다.
21일 중국 중화망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유명 인플루언서 후천펑의 더우인, 웨이보, 틱톡 등 소셜미디어(SNS)계정이 일제히 이용 중지됐다.
구독자가 90만 명에 달하는 그의 웨이보 페이지에는 '관련 법률 및 규정 위반으로 계정이 현재 정지된 상태'라는 메시지가 표시됐다. 구독자 130만 명이 넘는 더우인 계정에도 모든 게시물이 사라졌고, 틱톡 계정도 마찬가지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그가 마지막으로 모습을 드러낸 것은 지난 16일 라이브 방송이다. 이후 그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중화망은 이를 '예고 없는 디지털 사망'이라고 비유했다.
매체들은 후천펑 계정 차단의 결정적 원인은 지난해부터 그가 중국 내 계급 사회 고착화를 비판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이미 2023년부터 중국산 차 폄하, 엘리트 도시 조장 등 사유로 중국 SNS 플랫폼에서 5차례 임시 차단당한 바 있다. 이번 '전면 차단'은 후천펑이 결국 '레드라인'을 넘은 것이라고 중화망은 분석했다.
장쑤성 농촌 출신인 그는 1인 콘텐츠 크리에이터 활동을 시작한 이후 '100만위안(약 2만원)'으로 태국에서 한 달 살기' 등 국가별 구매력 차이를 보여주는 영상을 제작하면서 눈길을 끌었다.
쓰촨성 청두 거리에서 우연히 만난 78세 여성이 매달 107위안(약 2만1000원)의 농촌사회보장금에만 의존해 살아간다는 사연을 듣고 함께 장을 보며 대화하는 영상으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한국의 1일 최저시급(당시 기준 9860원)으로 마트에서 장보기'를 주제로 영상을 공개해 국내에서도 화제가 됐다.
한국 법정 최저시급으로 하루 8시간을 일했을 때 받는 7만 8880원으로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본 후천펑은 쌀 한 포대, 달걀 한 판, 닭고기, 우유, 대파, 무, 양배추, 감자 등을 담은 뒤 "한국의 구매력은 엄청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진짜 선진국이다. 장점을 배워야 중국도 선진국이 되지 않겠나"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한국은 인재가 많고 정이 깊다", "중국에서는 느끼지 못한 따뜻함을 경험했다" 등 발언을 했으며 "베이징·상하이보다 한국의 생활 수준이 낫다"는 주장까지 펼쳐 중국 누리꾼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