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에 따른 화재·방사성 물질 누출 등 복합재난 상황 대응
한국수력원자력은 29일 한빛원자력본부에서 재난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해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대규모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시행했다.
이번 훈련은 한빛본부 인근 지진 발생에 따른 산불, 화재와 방사성 물질 누출 등 도전적인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해 진행됐다. 초기 지진 재난 상황에서부터 산불, 화재, 유해화학물질 유출, 싱크홀 발생과 방사선 비상 사고 대응과 수습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훈련을 수행했다.
또 훈련에는 민간단체와 지역 주민이 대피, 산불 진화 지원, 자원봉사 활동 등에 직접 참여해 훈련의 실효성을 한층 높였다. 특히 국가 재난안전통신망(PS-LTE)을 적극 활용해 유관기관 간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지휘 체계를 일원화함으로써 실제 재난 대응과 같은 협력체계를 구현했다.
한수원은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훈련을 위해 지난 4월부터 지방자치단체, 소방서, 경찰서, 군부대 등 유관기관과의 통합 준비회의, 민간전문가 컨설팅과 사전 리허설 훈련 등 재난대응 훈련을 준비해 왔다.
전대욱 한수원 사장직무대행은 "이번 훈련은 복합재난을 대비한 유관기관 협력 체계 및 대응 역량을 확인하는 좋은 기회"라며 "이번 훈련에서 도출된 개선 사항들은 빠짐없이 매뉴얼에 반영해 한수원의 재난대응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