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부담·일회성 비용에도 선방…가전·전장 동반 성장 주효
LG전자가 대미 관세 부담과 일회성 비용에도 불구하고 시장 기대치를 소폭 상회하는 3분기 실적을 거뒀다. 주력인 생활가전과 전장 사업이 실적을 견인하면서 외부 환경 악화를 상쇄했다는 분석이다.
13일 LG전자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21조8751억원, 영업익 688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4%, 8.4% 감소한 수치다. 다만 전 분기 대비해서는 5.5%, 7.7%씩 상승했다.
회사 측은 "통상환경 변화로 인한 관세 부담, 인력 선순환을 위한 희망퇴직 등 비경상 요인이 전년 동기 대비 전사 수익성에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했다.
이번 실적을 주로 이끈 것은 전장(VS) 사업으로, 해당 부문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에 힘입어 3분기 역대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달성했다. 사업모델도 하드웨어 중심에서 차량용 콘텐츠 플랫폼 등으로 다변화 중이다.
생활가전(H&A) 부문은 관세 부담과 글로벌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프리미엄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했다. 생산지 재배치와 자원 투입 효율화를 통해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고, 구독형 서비스 등 새로운 수익 모델을 확대하고 있다.
TV를 담당하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MS) 부문은 희망퇴직 비용 등 일회성 요인이 반영됐지만, webOS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익구조 다변화를 추진 중이다. 특히 광고사업과 콘텐츠 확장을 핵심 축으로 삼고, 수요가 비교적 견조한 ‘글로벌 사우스’ 지역 공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냉난방공조(ES) 부문은 상업용 공조시스템과 산업·발전용 칠러(Chiller)를 앞세워 글로벌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북미·중남미·중동·아시아 등에서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등 대규모 수주가 이어지며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회사는 차세대 핵심 기술로 꼽히는 데이터센터용 액체냉각 솔루션 상용화도 준비 중이다.
한편 이번 잠정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른 예상치로, LG전자는 이달 말 예정된 실적설명회에서 올해 3분기 순이익 및 사업본부별 세부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